[앵커]<br />북한은 미사일 개발의 종착역으로 미국 본토를 겨냥한 대륙간 탄도미사일, ICBM을 개발하기 위해 수많은 시행착오를 반복해 왔습니다.<br /><br />단거리 발사체인 스커드 미사일부터 대륙간탄도미사일, ICBM급 미사일 시험발사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김잔디 기자가 정리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북한의 미사일 개발이 본격화된 것은 1981년 이집트와 탄도미사일 개발 협정을 맺으면서부터였습니다.<br /><br />1984년 구 소련제 스커드 미사일을 모방한 사거리 300km의 스커드 B형을 생산하는데 성공했고, 이후 스커드-C와 ER 등 개량 모델을 내놓으며 한반도 전역을 사정권에 두게 됐습니다.<br /><br />주일 미군기지를 위협하는 사거리 1,300km의 준중거리 미사일 노동도 스커드 계열로 평가받습니다.<br /><br />우주발사체로 분류되는 대포동이나 은하 로켓 시리즈는 노동미사일 엔진 4개를 엮어서 만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[김민석 / 국방부 대변인 (지난 2012년) : 북한은 위성 발사를 빙자한 장거리 미사일 개발을 이번에 시험했고, 이는 군심과 민심 결집을 통해 김정은 지배 체제를 안착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입니다.]<br /><br />지난 2007년 4월 북한군 창건일 기념 열병식에서는 구소련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R-27을 모방한 새로운 계열의 미사일이 등장합니다.<br /><br />사거리 3,500km로 괌의 미군 기지를 겨냥한 무수단 미사일입니다.<br /><br />또, SLBM인 북극성 1호와 지상의 SLBM으로 불리는 북극성 2형 등을 깜짝 공개하면서 고체 연료 미사일 시대를 여는 듯했습니다.<br /><br />[北 조선중앙TV : 이제 우리 인민군대는 수중과 지상 임의의 공간에서 가장 정확하고 가장 신속하게 전략적 임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고 말씀하셨습니다.]<br /><br />그러나 북한은 지난해 9월, 액체 연료 기반의 대출력 신형 엔진을 선보인 뒤, 올해 다시 보조 엔진 4개를 덧붙인 엔진 시험에 성공했습니다.<br /><br />미 본토를 직접 타격할 수 있는 ICBM 개발에 대한 북한의 집착이 종착점을 향해 가고 있다는 평가입니다.<br /><br />YTN 김잔디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0729032127433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