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방송 : YTN 뉴스와이드<br />■ 진행 : 김선희 앵커<br />■ 출연 : 류승완 영화감독<br /><br />▷ 앵커 : 군함도 갇힌 공간에서 어떤 극한 상황에 놓이다 보니까 개인의 선택이라는 문제가 있거든요. <br /><br />개인의 선택 같은 어떤 보편성을 계속 영화 군데군데 지적을 하시다 보니까 오히려 지옥 같은 군함도의 처절한 실상이나 참상 이런 걸 관객들이 기대했던 것보다, 예상보다 조금 가볍게, 가볍다는 표현이 적절치는 않지만 예상보다 덜 묘사가 됐다 이런 지적이 나오고 있더라고요. <br /><br />▶ 인터뷰 : 일단 첫 번째로 이렇게 말씀드리고 싶어요. 저는 오히려 그런 식으로 계속 자극하는 게 더 위험한 방식이라고 생각을 했어요. <br /><br />일단 이 영화를 만들 때 저희들이 이 영화를 준비하는 내내 수년 동안 철저하게 고증받고 이 영화에서 등장한 인물들이나 서사 구조의 사건들은 창작된 부분이 있는 것이 분명히 사실입니다. <br /><br />하지만 창작된 이야기나 인물들은 이때 당시에 역사적 사실을 기반으로 하지 않았다면 나올 수가 없는 이야기들이고 인물이에요. <br /><br />그리고 이 영화에 등장하는 소품 하나하나까지도 이때 당시의 고증에 맞게 하고 스태프들이 굉장히 애를 먹었어요. <br /><br />그러면 이 영화 후반부로 가면서 이게 탈출극으로, 집단 탈출극으로 흘러가는데 그것이 마치 장르 영화처럼 굉장히 호쾌한 전투 장면이 벌어지고 이런 것에 대한 말씀을 하시려는 분들이 계신데 저는 그 집단 탈출 장면조차도 군함도 전문가분들과 군사 전문가분들의 자문도 받았어요. <br /><br />그때 당시에 이 공간에서, 이때 사람들이 탈출한다고 했을 때 어떤 경로로 이것이 가능한 것인가. 그래서 사실에 가장 가까울 수 있게 제현하려고 노력을 했었고. <br /><br />제가 굳이 그런 탈출 장면을 만든 이유가 있다면 왜 그렇게 만들었느냐라는 의문이 분명히 있을 텐데 제가 이 영화를 만들기 위해서 취재하면서 제가 느낀 이 당시의 조선인들의 열망은 조선 독립도 아니고 밥을 조금 더 먹는 거, 잠을 조금 더 잘 수 있는 거. 그러니까 인간으로서 기본적으로 누려야 되는 그 권리 자체를 모두 다 빼앗겨버리고 거기에 영문도 모른 채 가 있던 거예요. <br /><br />그런데 그분들이 진정으로 가졌던 염원은 뭐였겠습니까? 살아서 집으로 돌아가는 거예요. 저는 제가 대단한 사람도 아니고 큰 일 하는 사람도 아니고 다행히 제가 영화를 만드는 사람이잖아요.<br /><br />제가 영화를 만드는 사람으로서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6_20170729180611372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