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북한이 오늘 오전 전략군 사령관 명의의 성명을 발표하고, 괌 포위 사격 의지를 거듭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의 과거 벼랑끝 전술 사례를 돌아보면 북한이 실제로 포위 사격을 감행할 가능성이 있지만, 미국 대응에 따라 변화폭이 클 것으로 분석됩니다.<br /><br />왕선택 통일외교 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북한 김락겸 전략군 사령관의 별도 성명은 북한의 전통적인 벼랑끝 전술로 분석됩니다.<br /><br />이번의 경우는 괌 포위 사격을 기정 사실화할 정도로 사격 의지를 강조하면서 동시에 사격 유보 조건을 제시한 것으로 분석됩니다.<br /><br />미사일 비행 거리와 낙탄 수역은 물론 일본 상공을 지나는 비행 경로까지 제시했고, 미사일 사격 장면을 공개할 수 있다고 공언한 것은 사격 감행 의지를 강조한 부분입니다.<br /><br />이런 상황에서 북한이 실제로 사격을 하지 않을 경우 김정은의 지도력은 현저하게 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일종의 배수진으로 평가됩니다.<br /><br />실제로 북한은 지난 2010년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, 2006년 제1차 핵실험 사례에서 수 개월 이상 벼랑끝 상황에서 도발을 위협하다가 도발을 감행하는 특성을 보여왔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김락겸 성명에는 사격을 유보할 수 있는 조건도 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8월 중순이라는 사격 시점을 제시하면서도 김정은에게 아직 보고하지 않았다는 점과 보고 이후에도 김정은의 검토 과정이 있다는 점을 밝히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와 관련해 성명에 미국의 언동을 주시한다는 언급을 포함한 것은 미국이 어느 정도 양보하는 모습을 보일 경우 김정은의 승리로 규정하면서 사격을 유보할 수 있다는 메시지로 해석됩니다.<br /><br />결국 북한의 노림수는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전례없는 위협 발언에 저항 의지를 과시하면서 동시에 이번 상황을 미국과의 담판 성사로 연결하는 소재로 활용한다는 구상으로 해석됩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북한이 실제로 포위 사격을 감행할 지 여부는 미국이 대북 위협 발언의 수위를 완화하거나 정반대로 북한을 더욱 자극하는 등의 변수에 따라 달라지게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.<br /><br />YTN 왕선택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0810222552048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