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1946년 중앙아시아에 울려 퍼진 아리랑 / YTN

2017-11-15 0 Dailymotion

[앵커]<br />올해는 지난 1937년 스탈린이 고려인 17만 명을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시킨 지 80년이 되는 해인데요.<br /><br />대대적 강제이주 9년 뒤인 1946년 당시 중앙아시아 고려인들의 생활상을 담은 영상이 새로 공개됐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우리에게 알려진 아리랑보다 보다 원형에 가까운 아리랑도 들어볼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홍주예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영상이 시작되자마자 척박한 중앙아시아의 풍경을 배경으로 우리 귀에는 낯선 아리랑이 흘러나옵니다.<br /><br />1926년 나운규 감독이 제작한 '아리랑' 이전에 불린 원형에 가까운 것으로 평가됩니다.<br /><br />[진용선 / 아리랑박물관장 : 나운규의 영화 아리랑의 주제가로 불린 '신아리랑'보다 훨씬 이전에 불린 아리랑으로, 연해주 지역에서 전승되고 중앙아시아로 옮겨 불려진 귀중한 아리랑, '긴아리랑'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]<br /><br />소련의 스탈린 정권이 연해주에 살던 고려인 17만 명을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시킨 것은 1937년.<br /><br />그로부터 10년 가까이 흐르는 동안, 고단한 삶 속에서도 고려인들은 묵묵히 정체성을 지켜갔습니다.<br /><br />현판부터 한글이 선명한 집단농장의 학교에서는 학생이 칠판에 한글을 꼭꼭 눌러 씁니다.<br /><br />음식을 먹을 때 젓가락을 쓰는 것도 그대로고, 구경꾼들 한가운데서 씨름으로 힘을 겨루는 모습은 정겹습니다.<br /><br />당시 고려인 연출가가 만든 노래에는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땅을 일궈낸 고려인 농부들의 피땀이 묻어납니다.<br /><br />이 기록 영상은 고려인들의 성공적인 중앙아시아 정착을 선전하기 위해 1946년 스탈린 정권이 제작한 것으로, 국가기록원이 카자흐스탄 영상기록보존소에서 기증받아 공개했습니다.<br /><br />YTN 홍주예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70820222953187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