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재검사와 보완검사까지 거친 결과, 살충제 달걀을 생산한 농가는 전국에 모두 52곳으로 집계됐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정부가 달걀 껍데기 코드 일부를 또 잘못 파악하고 있던 사실이 드러나면서, 정부 불신은 더욱 커졌습니다.<br /><br />차유정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전북 김제에서 토종닭 2.500여 마리를 키우고 있는 농장.<br /><br />지자체 보완 검사 결과 이 농장에서 플루페녹수론 살충제 성분이 검출됐습니다.<br /><br />[살충제 성분 검출 농장주 : 농약 칠 일이 없는데 보셔서 알겠지만, 농약 칠 일이 없잖아요….]<br /><br />이 농장을 포함한 농장 3곳이 추가돼 전체 살충제 달걀 생산 농장은 모두 52곳으로 확정됐습니다.<br /><br />최초 문제가 된 피프로닐 성분이 검출된 농장이 8곳, 비펜트린 37곳, 플루페녹수론 등 기타가 7곳입니다.<br /><br />살충제 달걀 현황 파악을 마친 정부는 달걀 폐기 조치에 속도를 냈습니다.<br /><br />우선 살충제 달걀이 유통된 음식점이나 마트 등 1,610여 개 업소를 조사해 달걀 451만 개를 압류했습니다.<br /><br />또, 살충제 달걀이 원료로 쓰인 것으로 확인된 식품제조업체 3곳도 추적해 남은 달걀을 거둬들여 폐기 절차에 들어갔습니다.<br /><br />정부가 앞서 3차례나 잘못 파악하고 있었던 달걀 껍데기 코드에는 또다시 오류가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<br /><br />4곳 농장 코드는 아예 잘못 발표됐고 5곳 농장은 한 농장이 여러 코드를 함께 사용하고 있던 것으로 파악됐습니다.<br /><br />[윤형주 / 식약처 식품안전정책국장 : 달걀 껍데기 코드라는 것이 농장에서도 할 수 있지만 주 의무자가 수집·판매업자입니다. 그런데 농장에서 한군데 수집·판매업자한테만 주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가지 수집·판매업자한테 줍니다.]<br /><br />달걀 껍데기 코드를 평소에 농가나 유통업자에게 맡겨 놓고 관리 하지 않은 데다 관리 주체도 식약처인지, 농식품부인지, , 지자체인지 명확지 않은 상태서 빚어진 혼란입니다.<br /><br />달걀을 추적할 수 있는 유일한 단서인 달걀 껍데기 코드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우왕좌왕하는 상황에서, 정부가 살충제 달걀 추적과 폐기 등 후속 조치를 제대로 마무리할 수 있을지 국민이 안심하지 못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차유정[chayj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0822000043643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