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살충제 성분 전수검사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은 산란계 농가에 대해, 정부가 최대한 이른 시일 내에 재검사에 착수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재검사에서 적합 판정이 나올 때까지 이들 농가의 달걀은 출하를 전면 금지하고, 부적합 판정이 나온 달걀은 전량 폐기할 방침입니다.<br /><br />강진원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현재 살충제 성분이 검출돼 달걀 출하가 금지된 농가는 모두 52곳.<br /><br />정부는 국민 불안감을 고려해 적합 판정이 나올 때까지 부적합 농가의 달걀 출하는 전면 금지하고, 최대한 이른 시일 내에 이들 농가에 대해 재검사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이들 농가는 앞으로 6개월 안에 2주 간격으로 불시에 재검사를 받게 되는데, 두 번의 검사에 모두 합격해야만 달걀 유통이 허용됩니다.<br /><br />만약 재검사에서도 부적합 판정이 나오면 이전까지 생산된 달걀은 그 즉시 전량 폐기되고, 형사고발도 이뤄집니다.<br /><br />또 허술한 친환경 인증제에 농축산분야 퇴직 공무원들이 연루됐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정부가 근절 방침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이번 조사에서 살충제 성분이 검출되거나 인증 기준을 위반한 친환경 농가는 37곳.<br /><br />이 가운데 농산물품질관리원 출신 퇴직자, 이른바 농피아가 포진한 민간업체로부터 인증을 받은 농가는 25곳, 68%에 달했습니다.<br /><br />김영록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농산물품질관리원 직원들이 퇴임 후 일정 기간 친환경인증 민간 업체에 재취업할 수 없도록 대책을 세우겠다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[김영록 /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: 자율적으로 추진할 방법을 강구해서 일정 기간은 농산물품질관리원 퇴직 공무원들이 민간 인증기관에 취업하지 않도록….]<br /><br />또 밀집 사육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앞으로는 동물복지형 농장만 친환경인증을 받도록 하고, 이 같은 농가 비중도 전체 30%까지 점차 늘리겠다고 덧붙였습니다.<br /><br />YTN 강진원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0822220303786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