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요즘 스마트폰을 케이스에 끼워 사용하는 분들 많으실 텐데요, 일부 제품에서 납과 카드뮴 등 유해물질이 기준치보다 최대 9천 배 넘게 검출됐습니다.<br />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김세호 기자!<br /><br />상당히 충격적인 내용인데요. 얼마나 많은 제품에서 문제가 된 겁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한국소비자원이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스마트폰 케이스 30개를 조사해봤는데요, 6개 제품에서 유해물질이 다량 검출됐습니다.<br /><br />제가 다량이라고 말씀드렸는데 많아도 너무 많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우선 3개 제품에서 카드뮴이 검출됐는데요.<br /><br />검출량이 최대 1kg에 921,900mg입니다.<br /><br />유럽연합 기준의 9천 배가 넘는 수준입니다.<br /><br />4개 제품에서는 납이 유럽 연합의 최대 180배 넘게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스마트폰 케이스는 크게 합성수지 제품과 가죽 제품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,<br /><br />문제가 된 제품 가운데 대부분이 합성수지 제품이었고, 특히 케이스를 화려하게 꾸미기 위해 부착한 큐빅이나 금속 장식품이 문제가 된 경우가 많았습니다.<br /><br />납에 노출되면 식욕 부진, 빈혈, 근육 약화 등을 유발할 수 있고, 카드뮴은 폐와 신장에 악영향을 미쳐 발암 등급 1군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1개 제품에서 검출된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내분비계 장애를 일으키는 물질로 추정됩니다.<br /><br />이렇게 유해물질 덩어리라 할만한 제품들이 버젓이 유통된 것은 안전 기준 사각지대에 놓여있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스마트폰 케이스에 대한 개별 안전기준이 전혀 없는 게 문제라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또, 케이스를 구매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제품 포장지에 사업자 명이나 전화번호 등이 제대로 기재된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.<br /><br />문제가 생겨도 환불 등 피해구제를 받을 방법이 없는 겁니다.<br /><br />소비자원은 유해물질 과다 검출 제품에 대한 시정조치를 해당 업체에 권고하고, 스마트폰 케이스에 대한 안전기준 개선을 국가기술표준원에 건의할 방침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경제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0824140058835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