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조명균 / 통일부 장관<br /><br />[앵커]<br />새 정부가 들어섰지만 남북 관계는 여전히 풀릴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. 북한은 우리 정부의 대화 제의는 외면하면서 미국을 향한 군사적 압박을 높이는 상황이고 우리 정부의 기다림도 길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조명균 통일부 장관과 함께 남북관계 해결을 위한 우리 정부의 계획 들어보겠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안녕하십니까?<br /><br />[앵커]<br />오랫동안 통일부를 떠나계셨습니다. 2008년에 통일부에서 사표를 내고 떠나셨죠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그렇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그때 대기발령 상태였었던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.<br /><br />[인터뷰]<br />그런 기간이 6개월 정도 있다가 제가 2008년 10월 말에 퇴직을 해서 이번에 약 9년 만에 다시 통일부로 복귀를 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9년 만에 다시 오셨는데 그동안 남북관계 많이 변했죠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네, 제가 밖에서 느끼던 것보다 훨씬 더 큰 변화들이 있었습니다. 다 아시는 것처럼 북한 핵문제 상황은 훨씬 더 엄중해졌고. 또 남북관계는 남북 대화라든가 개성공단을 포함해서 모든 것이 단절된 상태에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리고 한반도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개입은 훨씬 더 커지고 있고. 우리 국민들의 북한에 대한 인식이나 그런 데서도 많은 변화도 있었습니다. 또 통일부 자체적으로도 이런 상황 속에서 여러 가지 분위기가 바뀐 측면이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임기를 시작하시고 첫 업무보고도 하셨는데 남과 북 사이의 대화 채널에 대한 관심이 아무래도 높지 않았습니까? 지금 정부, 문 대통령도 남북 대화 여기에 방점을 찍고 있는 것 같은데요.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지금 우리가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 상황도 고조되는 상황에서 남북 간의 모든 연락 채널이 끊겨져 있습니다. 그래서 우리가 군사분계선에 많은 남북 군사가 대치하고 있는데 여기서 사소한 우발적 충돌도 경우에 따라서는 확산될 수 있는 그런 위험성이 있는데 이런 연락채널조차도 없는 것은 대단히 위험한 상황입니다.<br /><br />그런 측면에서 저희가 어쨌든 이런 연락채널을 복원하고 또 남북한 간 시급히 해결해야 될 이산가족 문제라든가 그런 걸 풀어나가는 것부터 시작해야겠다는 측면에서 남북대화 복원이 필요다, 이런 측면에서 접근을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이미 대화 제의는 했습니다. 군사당국자회담 7월 27일로 시안을 정해서 제안했었고요. 8월 1일자로 해서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0825095908529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