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투자를 적게 하면서도 효율성이 큰 친환경 에너지가 어떤 것이 있을까요?<br /><br />울산에서는 지역에서 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한 차세대 에너지산업 모델, 23개를 발굴해 사업화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김인철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울산의 한 쓰레기 매립장입니다.<br /><br />쓰레기를 메우면서 조성되는 유휴면적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하면, 민원도 없고, 부지 매입비용도 들지 않습니다.<br /><br />식수원인 울산의 4개 댐이나 넓은 현대자동차 주차장, 공장 건물 옥상 등도 태양광 발전시설 최적지입니다.<br /><br />농촌 유리온실과 공영주차장에 설치한 풍력과 태양광으로 만든 에너지를 저장했다가 다시 쓰는 에너지저장장치, ESS 시스템도 신재생에너지의 한 모델입니다.<br /><br />[박수진 / 울산과학기술원 교수 : 발생한 에너지를 바로 저장하고 필요할 때 다시 공급해 주는 역할로 ESS 장치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.]<br /><br />이렇게 울산시가 에너지산업을 추진하기 위해 찾은 모델은 23개.<br /><br />지난해 11월부터 최근까지 울산과학기술원에 맡겨 발굴한 겁니다.<br /><br />발전소의 온배수와 석유화학 공정에서 나오는 재생에너지까지, 울산에서 활용 가능한 시설을 기반으로 모델을 찾았습니다.<br /><br />[이상영 / 울산과학기술원 교수 : 울산시, 기업, 연구기관을 포함한 공공기관과 함께 에너지 신산업의 새 모델 수립과 함께 클러스터 조성을….]<br /><br />수소 버스와 승용차 보급 등 수소연료전지사업도 포함됐습니다.<br /><br />정부가 2030년까지 잡은 재생에너지의 발전량 달성 목표는 20%, 따라서 울산시는 이번에 발굴한 모델을 사업화해 정부 정책을 선도해 나가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YTN 김인철[kimic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70830010105755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