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급속한 고령화와 저출산 여파로 지난해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14살 이하 유소년 수를 사상 처음으로 넘어섰습니다.<br /><br />출생아 수는 갈수록 줄고 노인은 빠르게 늘어나, 오는 2030년에는 그 격차가 두 배로 벌어집니다.<br /><br />고한석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지난해 11월 기준 국내에 거주하는 인구는 5천127만 명.<br /><br />1년 전보다 20만 명, 0.4% 늘었습니다.<br /><br />연령대별로 보면,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678만 명으로 1년 전보다 3.1%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반면, 14살 이하 유소년 인구는 677만 명으로, 2% 줄었습니다.<br /><br />인구주택 총조사를 시작한 이래로 노인 수가 아이 수보다 많아진 건, 지난해가 사상 처음입니다.<br /><br />애초 통계청은 올해쯤 이 같은 역전 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했지만, 저출산이 심화하면서 1년 앞당겨진 겁니다.<br /><br />[이재원 / 통계청 인구총조사과장 : 예상했던 것보다 출생이 적게 나타나는 부분이 있어서, 인구 구조가 바뀌는 시점이 당겨졌습니다.]<br /><br />기대 수명은 갈수록 늘어나는 데, 올해 출생아 수는 40만 명 선도 무너져 역대 최소가 될 것이 확실합니다.<br /><br />여기에다 1955년에서 63년 사이에 태어난 이른바 베이비붐 세대가 노인 인구로 편입되기 시작하면 인구 구조는 더 빠르게 바뀝니다.<br /><br />노인은 오는 2025년에는 천만 명을 넘고, 2030년쯤 천3백만 명에 육박해 유소년 인구의 두 배를 넘게 됩니다.<br /><br />유소년과 노인 사이 연령층, 즉, 생산 가능 인구는 2020년대에서 연평균 34만 명씩 급격히 감소하고 2030년대에는 1년에 44만 명씩 사라집니다.<br /><br />그만큼 경제·사회적 활력은 떨어지고, 복지 지출은 급증해 재정 부담은 커집니다.<br /><br />이대로 두면 앞선 일본의 잃어버린 20년, 장기 불황보다 더 심각한 상황을 맞을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옵니다.<br /><br />YTN 고한석[hsgo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0831161453112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