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추석 건강한 밥상...가공식품 제대로 알고 먹는 법 / YTN

2017-10-03 0 Dailymotion

■ 이덕환 / 서강대 화학과 교수<br /><br /> <br />추석이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명절 선물을 고르는 분주한 손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<br />특히 가공식품이 명절 선물로 선호되는 만큼 제대로 알고 더 건강하게 먹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전문가 모셨습니다. 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교수 나오셨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 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안녕하세요. <br /><br /> <br />일단 가공식품이라고 하면 우리 주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햄, 통조림, 이런 것들을 떠올리게 되는데요. <br /><br />가공식품이 정확히 어떤 것인지부터 알아야 될 것 같습니다. 소규모로 생산된 제품도 가공식품에 포함이 되는 겁니까? 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가공식품을 생산한 기업의 규모하고는 상관없고요. <br /><br />사실 가공식품이라는 말은 법률 용어가 아니고 일반적으로 우리가 흔히 쓰는 영어로는 프로세스드 푸드라고 그러는데 아주 정의가 복잡합니다. 아마도 식품위생법이라는 법이 있어요. <br /><br />그 식품위생법이 적용되는 모든 식품이 가공식품이다, 이렇게 이해를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. <br /><br />쉽게 말씀드려서 저희가 집에서 스스로 소비하려고 만드는 식품은 가공식품이 아니고요. <br /><br />다른 사람에게 돈을 받고 판매할 목적으로 만드는, 조리하는 식품은 전부 가공식품이다, 이렇게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. <br /><br /> <br />그러니까 식품위생법이 적용되는 모든 식품이 가공식품이다라고 말씀해 주셨는데 가공식품의 유통기한이 상당히 길잖아요. 이것이 신선도와 관계가 있는 겁니까? 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그렇죠. 실제로 식품은 우리가 생활할 때 없어서는 안 되는 굉장히 귀중한, 소중한 것이죠. 그런데 문제가 거의 모든 식품은 상합니다. 쉽게 상하죠. 그래서 옛날부터 식품을 안 상하게 만드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서 노력을 많이 했습니다. <br /><br />그런데 20세기에 들어와서 일반화되기 시작한 가공식품은 사실은 유통기한, 그러니까 상하지 않고 오랫동안 먹을 수 있도록 만드는 게 가장 중요한 목적이었습니다. <br /><br />그러니까 가공식품의 유통기한이 긴 것은 사실은 당연한 건데 문제는 유통기한을 길게 만들기 위해서 어떤 과정을 거치느냐가 문제죠. 제일 쉽게는 통조림처럼 포장 기술을 개발하는 것도 방법이고요. <br /><br />건조나 염장이나 이런 방법도 있지만 흔히 가공식품에 많이 쓰는 방법이 보존제라고 하는 화학성분을 첨가해서 유통기한을 늘리는 겁니다. <br /><br />이게 일반적으로 잘못 알려져서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5_20171003181727748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