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업활동이 수월하고 일하기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한 광주광역시의 실험인 '광주형 일자리'가 주목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적정 임금의 안정적인 일자리를 만들고 노·사나 정규직·비정규직 관계에서 나타나는 불평등을 해소해 사회 대통합에 나서는 건데요.<br /><br />노동시장을 새롭게 재편하는 실험에 노동계도 반색하며 지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나현호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노동 전문가들과 학계, 기업 관계자들이 모여 머리를 맞댑니다.<br /><br />'광주형 일자리 모델'을 실현하기 위한 주요 과제 중 하나인 '노사 책임 경영'에 대한 전략을 토론하는 겁니다.<br /><br />[박해광 / 더 나은 일자리위원회 실무위원장 : 토론회 결과들이 앞으로 점차 저희 광주지역의 구체적인 기업의 변화나 일자리 창출이나 새로운 시범사업의 출연 같은 형식으로 결실을 맺게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.]<br /><br />'광주형 일자리'는 제조업체 근로자 임금을 절반으로 낮추고 일자리는 배로 늘리는 모델입니다.<br /><br />원만한 노사 협의를 통해 적정 임금과 노동시간 단축, 원청과 하청의 관계 개선을 실현하는 게 핵심 과제입니다.<br /><br />여기에는 기업의 고임금 체계와 노사관계 악화, 이에 따른 생산시설 유출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는 절박함이 깔렸습니다.<br /><br />이에 화답하듯 광주상공회의소와 전남대학교 등 22개 기관과 단체가 적정한 임금과 근로시간 실현을 비롯한 4대 원칙에 합의했습니다.<br /><br />또 노동계 양대 축인 한국노총과 민주노총 7개 사업장 노동조합이 광주형 일자리 사업을 위해 10년 만에 손을 잡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[윤장현 / 광주광역시장 : 노동조합은 노동조합으로서 여러 가지 논의와 토론을 거쳐서 시대적 과제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함께 합의해왔다는 것이 매우 소중한 일이고요.]<br /><br />문재인 정부 국정과제에도 포함된 광주형 일자리 모델 확산이 우리나라 노동 시장을 어떤 모습으로 변화시켜 나갈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YTN 나현호[nhh7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71006042026871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