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김태현 / 변호사, 차재원 / 부산 가톨릭대 교수<br /><br /> <br />열흘간의 추석 연휴가 이제 막바지에 이르고 있습니다. 연휴가 끝나고 나면 다음 주 10일부터는 본격적인 정기국회와 함께 국정감사가 시작됩니다. 정국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여야의 기싸움이 벌써 팽팽합니다. 김태현 변호사, 차재원 부산가톨릭대 교수와 함께 전망해보겠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안녕하세요.<br /><br /> <br />문재인 대통령 열흘간의 추석연휴를 보내고 있는데요. 지난번에 교통통신원으로 활동을 했고 어제는 안동의 하회마을을 다녀오면서 대체로 청와대에 머물면서 추석 구상을 한 것으로 이렇게 알려지고 있지 않습니까? 어떤 구상을 했다고 보십니까?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아무래도 지금 당면한 과제가 아무래도 가장 큰 것이 안보 위기이지 않겠습니까? 지금 사실 여러 가지 전망에 의하면 북한의 노동당 창건 기념일인 10월 10일을 전후 해서 또 다른 무력도발을 할 가능성이 높다, 그리고 오늘 또 외신 보도에 의하면 북한을 최근에 방문했던 러시아 의원들에게 사정거리가 1만 2000km에 달하는. 1만 2000km라면 미국의 본토를 타격할 수 있는 그 거리에 해당하는 ICBM을 곧 발사하겠다는 것이 북한의 주장이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 관리에 대해서 상당히 무엇보다도 신경을 많이 쓰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입니다.<br /><br />사실은 북한이 지금 ICBM을 미국 본토 해안 쪽으로 만약 발사할 경우에는 상당히 그에 대한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것 같습니다. 이런 상황에 대해서 미국의 섣부른 대응 이런 부분들에 대해서 상당히 경계를 하는 것과 함께 무엇보다도 북한의 도발을 어떻게 막을 것이냐 부분에 대해서 고민을 많이 하고 계신 것 같은데요. 이러한 상황과 관련해서는 문재인 대통령 입장에서는 소위 말하는 통미, 미국과의 긴밀한 협조 속에서 신뢰에 바탕해서 한미가 공동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이고 또 한편으로는 아마 통북의 움직임도 모색해야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.<br /><br />통북이라는 것 자체가 지금 당장은 대화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니지만 어떤 식으로든 물밑교섭을 통해서라도 북한의 도발을 나름대로 제어할 수 있는 억지력을 우리가 갖출 수 있도록 그러한 방안을 찾는 데 상당한 구상을 다듬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입니다.<br /><br /> <br />문 대통령 추석 구상 어떻게 보십니까? <br /><br />[인터뷰] <br />글쎄요. 저는 별다른 추석 구상이 있을 것 같지는 않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1007225252715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