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주에서 통일신라 시대에 만든 수세식 화장실이 발견됐습니다.<br /><br />지난 5월에는 신라 때 만들어진 성벽 아래에서 제물로 바쳐진 사람의 뼈가 나오기도 했는데요.<br /><br />신라 시대 유적과 유구가 속속 발견되면서 경주의 옛 모습이 윤곽을 찾아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윤재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신라 시대 왕궁인 경주 월성 발굴 현장.<br /><br />조심스럽게 흙을 덜어내자 사람 뼈가 모습을 드러냅니다.<br /><br />천500년 전, 이곳에 성을 쌓으면서 제물로 바쳐진 사람의 흔적입니다.<br /><br />설화로만 전해지던 '사람 제물'이 실제로 있었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진 겁니다.<br /><br />[이인숙 /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 : 인골이 제의로 사용된 사례는 국내에서 처음이고요. 성벽의 축조 과정상에서 성벽을 무너지지 않고 튼튼하게 하기 위해서 사람을 제물로 바친 제의의 흔적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.]<br /><br />지난 2015년 경주 월성에서 왕궁의 흔적이 처음 발견된 이후 신라의 옛 모습을 찾는 작업이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최근에는 태자가 거주했던 동궁 터에서 최고 지배층이 이용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수세식 화장실도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바닥에는 타일 기능을 하는 벽돌과 넓적한 돌을 깔았고, 기울어진 배수로를 설치해 지금과 거의 비슷한 모습입니다.<br /><br />[장은혜 /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사 : 당시 신라의 최고급 화장실 형태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. (신라의) 화장실 문화, 그리고 왕궁 내의 화장실 발달 정도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자료가 됩니다.]<br /><br />동궁으로 출입하는 문도 확인돼 당시 신라의 왕궁의 규모도 짐작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[이종훈 /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장 : 궁궐에서 어떤 생활문화가 이뤄졌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단서를 찾았고요. 이를 통해서 향후에보다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서 신라 궁궐 내부에서 이뤄졌던 여러 생활문화상을 밝힐 수 있는….]<br /><br />유물과 유구가 속속 발견되면서 신라 왕궁의 모습과 경주 땅에 살았던 옛사람들의 생활상을 추정하는 연구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YTN 이윤재[lyj1025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71013224145741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