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가 공공 부문 81만 개 일자리 창출 정책을 본격 추진하고 나섰는데요,<br /><br />그런데 안정적인 고용 창출에 앞장서야 할 국책 연구기관인 KAIST에서 비정규직 편법 채용이 만연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<br /><br />이정우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공공 부문에서 선호하는 직장 가운데 하나인 국책 연구기관인 KAIST.<br /><br />그런데 이 공공기관에 한 사람이 비정규직으로 2번 이상 입사하는 일이 반복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런 사람이 무려 180여 명에 이릅니다.<br /><br />재입사를 하다 보니 사원번호가 2개가 되는 셈인데 최대 5개에 이르는 직원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재직 동안 계약을 3회에서 15회에 걸쳐 갱신한 직원도 160여 명으로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이 같은 사실은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신용현 의원이 공개한 'KAIST 비정규직 2회 이상 입사자 현황' 자료에서 밝혀졌습니다.<br /><br />[신용현 국회의원(국민의당) /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 : KAIST는 여러 번 재입사를 시키는 방법을 썼습니다. 이것은 일종의 편법이라고 할 수 있고요. 이런 면에서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문제도 나오기 때문에 정당한 대우가 이뤄질 수 있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습니다.]<br /><br />카이스트는 이처럼 비정규직 편법 채용을 위해 다양한 수법을 동원했습니다.<br /><br />퇴직 형식을 거쳐 재입사 시키거나 행정직과 연구직 교차 입사, 파견제와 기간제 간 재입사 등이 대표적입니다.<br /><br />더욱이 2년 초과 비정규직의 무기계약직이나 정규직 전환을 우려해 '기간제법의 예외사유'나 '임금 재원이 출연금이나 사업비'라는 점을 근거로 편법 채용을 관행으로 고착화했습니다.<br /><br />[신용현 국회의원(국민의당) /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: 우리나라는 인건비로 쓰는 것에 대해선 유독 엄격하게 생각하는 면이 있거든요. 그런데 연구라고 하는 건 사람이 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인건비에 대해서 유연성을 부가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.]<br /><br />KAIST는 정규직을 뽑을 여력이 없고 인건비 절감 등 경영상의 이유에 따른 불가피한 조치였다고 해명했습니다.<br /><br />나아가 장기적으로 '공공기관 비정규직의 정규직' 전환을 추진하는 등 잘못된 채용 관행을 바로잡아 나가겠다고 약속했습니다.<br /><br />YTN 이정우[ljwwow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71019221244089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