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주 이후 한반도와 주변 안보 정세에 미묘한 변화 조짐이 나타나면서 긴장 완화 쪽으로 국면 전환이 이뤄질 수 있다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북한의 핵과 미사일 문제와 관련해 뚜렷한 해결 전망이 나오지 않는 만큼 더 큰 충돌을 앞둔 일시적 평온이라는 지적도 여전히 유효하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왕선택 통일외교 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한반도 안보 정세 변화 조짐은 북한 태도에서 감지되기 시작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이 지난달 15일 이후 고강도 도발을 하지 않은 것은 이례적이고,<br /><br />북한 해역으로 넘어갔던 남측 어선을 인도적 차원을 강조하며 신속히 돌려보낸 것도 긍정적인 현상입니다.<br /><br />미국에서도 외교 해결에 대한 의지가 더욱 강하게 표출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미 국무부가 최근 모스크바에서 열린 반관반민 세미나에 팀장급 관리를 파견한 것은 의미가 적지 않다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시진핑 중국 주석이 제19차 공산당 대회를 통해 국내 권력 기반을 안정적으로 재편한 것도 동북아 정세에 도움을 줄 것이라는 평가로 이어졌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북한의 도발 유보 배경이 불투명한 만큼 낙관론을 경계해야 한다는 지적은 유효합니다.<br /><br />지난달 22일 김정은이 개인 성명에서 상상 밖의 도발을 하겠다고 위협한 사실은 북한 태도 예측에 중요한 지침입니다.<br /><br />특히, 미국 정부에서 군사 조치 신호가 꾸준하게 나오는 점 역시 불안감을 자극하고 있고,<br /><br />시진핑 주석이 우리나라와 미국에 대해 공세적 태도를 보일 가능성도 주목 대상입니다.<br /><br />다만,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한 이후 한중 정상 회담이 성사되고, 북한의 도발 중단이 계속될 경우 우리의 외교 공간을 넓히는 기회를 만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평가됩니다.<br /><br />YTN 왕선택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1029050051705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