전기 안전 문제로 인한 아파트 화재가 연간 600건에 이르고 있어 낡은 시설의 보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한국소비자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김한표 국회의원에게 제출한 자료를 보면 국내 아파트 전기화재 발생 건수는 지난 2013년 520건에서 지난해 583건으로 거의 해마다 증가세를 이어왔습니다.<br /><br />서울과 경기도에 있는 16개 노후아파트 48가구를 실태 조사한 결과 13가구가 즉시 보수가 필요하거나 사용제한을 검토해야 하는 수준을 뜻하는 '전기설비 안전 D등급'을 받았습니다.<br /><br />특히 12가구는 감전 사고나 화재 예방을 위한 누전차단기가 아예 없었습니다.<br /><br />또 노후아파트 가구의 누전차단기 용량이 20A(암페어)를 넘으면 안 되지만, 48가구 가운데 절반에 이르는 23가구가 이를 초과해 화재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<br /><br />이번 조사 대상 노후아파트 48가구 가운데 7가구는 복도에 소화기가 없었고, 비치된 41대의 경우도 19대만 관리기준에 적합했습니다.<br /><br />김세호 [se-35@ytn.co.kr]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71102120255205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