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김정남 피살 사건'의 여파로 6년 만에 미국에서 열릴 예정이던 북미 대화가 전격 취소됐습니다. <br /> <br /> 트럼프의 대북 정책은 북한을 최대한 압박하는 쪽으로 방향이 잡혔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 박정훈 워싱턴 특파원입니다.<br /> <br /> [리포트]<br /> 다음달 1일 뉴욕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북미 대화가 북측 인사에 대한 비자발급 거부로 취소됐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습니다.<br /> <br /> 북한측 요구로 성사된 민관 합동 성격의 이번 회동은 6년 만에 미국 땅에서 이뤄지는 북미 대화였지만, 북한의 도발에 대한 트럼프 정부의 강경기조로 결국 무산된 겁니다. <br /> <br /> [빅터 차/조지타운대 교수· 북미 대화 멤버] <br /> 북미 간 대화가 결국 무산됐습니다. 그건 (북한이 보유한) VX 신경가스가 김정남 암살에 이용됐기 때문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 최근 미사일 발사에 김정남 피살까지 겹치면서 북한문제를 외교적으로 푸는데 차질이 예상된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 최근 트럼프가 "김정은을 만나기엔 너무 늦었다"고 말한 것처럼 대화보다는 고강도 압박으로 북한 문제를 풀겠다는 트럼프 해법에 시동이 걸렸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 물밑 대화채널까지 무력화되면서 미국의 대북정책이 강공일변도로 흐를 가능성도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 무엇보다 중국도 연말까지 북한산 석탄 수입을 금지했고, 미 의회는 북한을 테러지원국으로 재지정하는 방안까지 추진하고 있어 대북 압박의 강도는 어느 때보다 강해질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 벼랑 끝 전술을 구사하는 북한의 특징을 감안하면 5월 전후 추가 도발까지 예상됩니다. 결국 북미 간에는 당분간 강대강 대치국면이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우세합니다. <br /> <br /> 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박정훈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