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찰이 오늘 집회현장에 원칙적으로 살수차와 차벽을 배치하지 않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 조국 수석이 수사권 조정의 전제 조건으로 '인권친화적 경찰'을 거론한지 불과 하루만입니다. <br /> <br /> 김유빈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 [리포트]<br /> 지난 2015년 '민중 총궐기' 집회에서 경찰의 물대포를 맞고 쓰러져 숨진 백남기 농민 사건. 이철성 경찰청장은 지난해 10월 재발 방지와 함께 안전과 인권에 유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 [이철성 경찰청장 / 지난해 10월 6일 국정감사] <br /> "최대한 집회 시위에 투입되는 인력을 줄여서 민생 치안으로 활용하고…" <br /> <br /> 하지만 그 뒤에도 집회 현장에는 수천 명의 경찰과 차벽이 등장했습니다. 앞으로는 이런 집회현장의 모습도 대폭 바뀔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 이대형 경찰청 인권보호담당관은 오늘 "집회 현장 경찰력과 살수차, 차벽 무배치를 원칙으로 하는 인권 보호안을 내일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업무보고에 담을 예정"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 폭력시위 현장에는 '예외적으로' 배치하는 방안을 검토한다고 경찰청이 추가로 밝히긴 했지만, 살수차와 차벽의 '무배치 원칙'이 강조된 것은 마찬가지였습니다. <br /> <br /> 청와대가 '인권 친화적' 경찰을 주문한지 불과 하루 만입니다. <br /> <br /> [조국 / 대통령 민정수석(어제)] <br /> "수사권 조정의 여러가지 전제 조건 중 하나가 경찰 내에서 인권침해적 요소가 방지되도록 하는 내부장치를 선제적으로 마련해야…" <br /> <br /> 경찰이 이처럼 전격적으로 집회관리 방침을 바꾼 것은 수사권 조정 논의를 경찰에 유리하게 이끌어가기 위한 의도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 채널A 뉴스 김유빈입니다. <br /> <br /> 영상편집 : 강 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