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해 미국 대선에서 치열한 TV토론을 벌였던 트럼프와 클린턴.<br /> <br /> 원형 무대에 단 둘만 선 채로 토론을 진행하며 원고 없이 유권자들의 질문에 직접 대답하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 평가는 엇갈렸지만, 후보들의 자질 뿐 아니라 품성까지 보다 명확히 드러나는 기회였습니다. <br /> <br /> 우리도 이번 대선부터 이런 미국식 TV 토론 방식을 일부 도입하기로 했는데요. <br /> <br /> 테이블에 앉아 진행하는 판에 박힌 토론 대신 이렇게 선 채로 집중 토론을 벌이자는 겁니다. 원고도 내려놓은 채 말이죠. <br /> <br /> 19대 대통령 선거 TV토론, 어떻게 달라지고 보완점은 무엇인지 노은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 [리포트]<br /> 우리나라 대통령 선거에 TV토론이 처음 도입된 것은 1997년 15대 대선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 준비한 원고와 자료를 보고 답변하는 기본틀은 지난 18대 대선 때까지 유지됐고, 각자 할 말만 하는 답답한 토론이라는 지적이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 [문재인] <br /> "사실 지금 제가 질문을 드렸어야 하는데..." <br /> <br /> [사회자] <br /> "이정희 후보가 시간을 다 써서 답변하실 수 없습니다." <br /> <br /> [박근혜] <br /> 그 인터뷰 내용을 한번도 보지 않으신 것 같습니다. 그리고 또 그 10.4… <br /> <br /> [이정희] <br /> 행동이 다르니까 말씀드린 겁니다. <br /> <br /> 결국 선관위가 처음으로 스탠딩 자유토론 방식을 도입키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 긴박감 넘치는 진짜 토론을 유도해 유권자들에게 검증의 기회를 주겠다는 취집니다. <br /> <br /> 바른정당 경선은 가능성을 제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 선관위는 모두 3차례의 TV토론 가운데 경제 분야를 제외한 두 번의 토론회를 스탠딩 방식으로 진행합니다. <br /> <br /> 기조연설을 없애고 후보들은 원고 없이 각자 18분간 자기 의견을 밝히거나 상대 후보에게 질문하는 '끝장토론'을 벌이는 겁니다. <br /> <br /> 뻔한 질문과 답변이 아닌 날카로운 정책 검증의 장이 될 지 23일 첫 토론회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채널A뉴스 노은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노은지 기자 roh@donga.com <br /> 영상취재 : 김준구 박희현 <br /> 영상편집 : 이승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