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통령 선거, 16일 앞으로 다가왔습니다. <br /> <br /> 돕고 싶은 후보가 생겼더라도 선거법 때문에 주의가 필요한데요. 선거 전날 자정까지, 공공장소 선거운동은 가능하지만 집집마다 방문해 특정 후보를 찍어달라고 하는 것은 불법입니다. <br /> <br /> 이번 선거부터는 대선 당일에도 이메일, 문자 메시지를 이용해 선거 운동을 할 수 있게 됐습니다. 투표를 마친 뒤 손가락으로 기호를 표시해 인증 사진을 올리는 것도 가능합니다. <br /> <br /> 또 인터넷에 반대-지지의 글을 올려도 됩니다. 다만 기표소 안에서 촬영하거나 투표용지를 촬영하는 것은 안 됩니다. <br /> <br /> 이번 대선 포스터와 관련해 얼굴 크기나, 시선 등을 놓고 '징크스다, 아니다' 말들이 참 많은데요. <br /> <br /> 어떤 얘기가 얼만큼 근거가 있을까요. 구가인 기자가 포스터의 법칙을 따져봤습니다. <br /> <br /> [리포트]<br /> 이번 대선은 역대 최다인 15명이 출마하면서 벽보가 10m가 넘을 정도로 깁니다. 엇비슷해 보이지만 나름의 법칙과 차별점이 존재합니다. <br /> <br /> 지난 대선에서 허공을 본 문재인 후보, 이번에는 정면을 응시합니다. 과거에는 측면 사진 벽보도 있었지만, 요즘엔 정면 응시가 대세입니다. <br /> <br /> [강진주/이미지컨설턴트] <br /> "김대중 대통령 포스터를 제외하고는 박근혜 대통령까지는 눈빛을 맞췄습니다. 적극성이 보여지고, 신뢰가 증가돼 보일수 있습니다." <br /> <br /> 파격으로 화제가 된 안철수 후보의 포스터. 논란이 일자 얼굴 작은 후보가 당선됐다는 농담도 던졌습니다. 실제로, 상당수 당선자의 얼굴은 경쟁자보다 작았습니다. <br /> <br /> 하지만 전문가들은 얼굴 크기는 근거가 없다고 일축합니다. 다만 얼굴을 크게 내세우지 않은 안 후보측 전략은 좋은 평가를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 [양종훈/상명대 교수·한국사진학회장] <br /> "작은 글씨가 크게 보이고, 작은 목소리가 잘 들린다라고 하는, 귀를 기울일수 있다는 얘기거든요. 차별성에서는 성공했다. " <br /> <br /> 지지도가 높을수록 문구는 확실히 단순합니다. 당선자 포스터 중 당명을 제외한 글자수는 평균 10자. 당명의 크기도 많이 줄어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 자연스러움이 중요해지면서 과묵한 표정보다는 치아를 드러낸 친근한 미소가 인기고, 과거엔 감췄던 주름이나 그림자도 내세우는 추셉니다. <br /> <br /> 채널A 뉴스 구가인입니다. <br /> <br /> 구가인기자 comedy9@donga.com <br /> 영상취재 조승현 <br /> 영상편집 오성규 <br /> 그래픽 박진수 안규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