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이버 공격에서 혐한 노래까지, 중국의 반한 감정이 도를 넘어서고 있습니다. 23일 중국에서 열리는 한중 국가대표간 대항전에도 비상이 걸렸습니다. <br /> <br /> 김윤수 베이징 특파원입니다.<br /> <br /> [리포트]<br /> [셰톈밍 / 중국 가수] <br /> "우리는 롯데 제품을 사지 말자. 롯데는 중국에서 빨리 나가라." <br /> <br /> 중국 내 사드 반대 움직임에 편승해 만든 혐한 노랩니다. '극단적인 민족주의'라는 비판이 제기됐지만, 각종 음악 사이트에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중국 발 해킹 공포도 확산되고 있습니다. 한국에 대한 선전포고 영상을 올린 중국 해커들은 국방부 등 군 사이트까지 해킹을 시도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[중국 해커 단체] <br /> "우리 중국 해커들은 한국에 공식적으로 전쟁을 선포한다" <br /> <br /> 급기야 반한 감정을 선동해온 중국 정부가 국민에 대한 통제력을 잃은 것 아니냐는 우려까지 나오는 상황. 외신들은 "일부 민족주의자들의 과격 반한 움직임에 대해 중국 지도부의 우려가 크다"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 [김윤수 기자] <br /> 중국 정부가 과격행동을 자제시키곤 있지만 애국으로 포장된 비이성적인 행위가 이미 겉잡을 수 없이 번져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이런 가운데 모레 열릴 한국과 중국의 축구경기를 놓고 긴장이 고조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경기장 인근에 공안 6천여 명이 배치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, 주중 한국대사관은 경기를 관람하는 우리 국민들에게 신변 안전에 유의할 것을 당부하고 있습니다.. <br /> <br /> 베이징에서 채널에이 뉴스 김윤숩니다. <br /> <br /> 영상취재: 장샹 <br /> 영상편집: 지경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