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의 원유 수입을 금지하는 대북제재 법안이 미국 하원에 이어 상원까지 통과됐습니다. <br /> <br /> 트럼프 대통령의 서명만 남은 상황. 초강경 분위기에 '8월 한반도 전쟁 위기설'까지 불거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에서 박정훈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리포트]<br />미 상원이 98대 2라는 압도적 표차로 초강경 대북 제재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. 북한의 핵과 미사일이 미 본토를 위협하면서 강경 대응해야 한다는 여론이 반영된 결과입니다. <br /><br />군 지휘부에서는 연일 대북 군사대응 카드가 거론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작전 지휘권을 가진 합참의장에 이어 <br /> <br />[조지프 던포드/미 합참의장] <br />많은 사람들이 대북 군사옵션은 상상도 할 수 없다 말해왔지만 그런 견해를 바꿔야 할 것 같습니다. <br /> <br />미군 통합특수전사령관까지 가세합니다. <br /> <br />[레이먼드 토마스/미군 통합특수전사령관] <br />일반적으로 (대북)군사옵션은 없다고 하죠. 하지만 군사옵션은 항상 있습니다. 그렇지 않을거면 뭐하러 6000억 달러나 씁니까. <br /><br />이와 관련해 한 미군 핵심관계자는 "북한이 핵미사일 완성을 눈앞에 두고 있다"는 의견까지 내놨습니다. <br /><br />북한이 추가로 ICBM 발사에 성공할 경우 한반도에 전쟁이 날 수도 있다는 '8월 위기설'까지 나오는 상황. 다만 중국이 유엔차원의 추가 대북제재에 동참할 움직임을 보이면서 외교적 압박을 통한 해결 가능성은 아직 남아 있습니다. <br /><br />결국 북한이 ICBM 기술을 얼마나 완성하느냐에 따라 미국의 군사대응 수위가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박정훈입니다. <br /> <br />영상취재: 이상도 <br />영상편집: 조성빈 <br />그래픽: 백서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