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한민국은 사드 배치에 든 비용, 1조 2천억 원을 부담하라는 미국 대통령의 돌출 발언 때문에 홍역을 치렀습니다. <br /> <br /> 하지만 미국 내에서도 왜 이런 소리가 나오는 지 알 수 없다는 자성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 오바마 정부 때 국무부 대변인을 지낸 인사가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 "한국 방어는 부동산 거래가 아니다" <br /> <br /> 그리고 "미국은 이미 비용을 대기로 합의했다"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 한미 최고위 안보당국자들은 오늘 아침 부랴부랴 전화통화를 해 '미국이 돈을 댄다'는 점을 재확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 하지만 트럼프의 일방주의에 경북 성주 주민들은 분노를 거두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김종석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 [리포트]<br /> 벽까지 쌓고 경찰과 몸싸움을 벌이는 성주 주민들. <br /> <br /> 미군 유조차량은 기지에 진입조차 하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 사드 비용을 누가 내느냐를 두고 한미 양국이 혼선을 빚는 동안 일부 성난 주민들이 행동에 나선 겁니다. <br /> <br /> 한밤 사드 배치와 비용 부담 요구에 여론이 심상치 않자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맥마스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전화통화를 가졌습니다. <br /> <br /> 두 사람은 사드 비용을 미군이 부담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 정부는 맥마스터의 말을 인용해 "트럼프 대통령의 언급은 동맹국들의 비용 분담에 대한 미국민들의 염원을 담은 일반적 맥락에서 이뤄진 것"이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 하지만, 사드를 빌미로 미국이 내년으로 예정된 한미 방위비 협상에서 분담금을 대폭 인상해달라고 요구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 청와대도 이런 가능성을 이미 알고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 [노회찬 / 정의당 의원(지난해 7월)] <br /> "주한미군 방위비, 우리가 분담하는 부담금 속에 2019년부터는 (사드 운영 비용이) 포함될 가능성도 있죠?" <br /> <br /> [김관진 / 국가안보실장(지난해 7월)] <br /> "방위비 분담액이 주한미군의 인건비, 시설비 항목이 나뉘어 있기 때문에 항목이 포함되면 들어갈 수 있습니다." <br /> <br /> 미국의 사드 청구서 가능성을 충분히 예상했지만,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과 파면 이후 정부가 너무 안일하게 대응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채널A 뉴스 김종석입니다. <br /> <br /> lefty@donga.com <br /> 영상편집 : 오준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