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수사권 조정' 그러니까 검찰이 독점한 수사권을 경찰에게도 줄 수 있다는 것을 청와대가 공식적으로 언급했습니다. <br /> <br /> 검찰 내부에서는 "올 것이 왔다"는 반응입니다. <br /> <br /> 이동재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 [리포트]<br /> ‘수사권 조정’ 문제를 놓고 검찰은 경찰과 그간 강도 높은 장외공방을 벌여왔습니다. <br /> <br /> [김수남 / 전 검찰총장(지난달 7일)] <br /> "검찰은 경찰국가시대의 수사권 남용을 통제하기 위해 준사법적 인권옹호 기관으로 탄생했습니다." <br /> <br /> [황운하 / 경찰청 수사구조개혁단장(지난달 7일)] <br /> “지금의 국정 파탄을 초래한 데 검찰이 최소한 공범이다.” <br /> <br /> 취임 직후부터 강도 높은 검찰 개혁 작업에 들어간 문재인 정부. <br /> <br /> [조국 / 민정수석] <br /> “수사권 조정 문제는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 사항이죠. 그건 이뤄져야 한다고 보고 있고.” <br /> <br /> 오늘 조국 민정수석의 발언에 검찰은 ‘올 것이 왔다’는 분위기입니다. <br /> <br /> 이미 ‘공직자 비리수사처’ 설치가 논의되는 상황에서 수사권 조정까지 이뤄질 경우, 검찰에 집중됐던 권한이 분산될 수밖에 없고 조직의 기능과 위상 역시 급속도로 줄어든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 검찰 내부에선 “검찰의 존립근거가 위협 받는다”는 우려의 목소리 속에, 일각에선 “경찰이 청와대의 ‘인권경찰’ 숙제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 수사권 조정이 안 될 수 있는 것 아니냐”는 담담한 반응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 ‘돈봉투 만찬’ 사건과 ‘인적 쇄신’으로 잇따라 술렁이는 분위기 속에 검찰은 청와대발 검찰 개혁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채널A뉴스 이동재입니다. <br /> <br /> 이동재 기자 move@donga.com <br /> 영상취재 : 김기범 박찬기 <br /> 영상편집 : 박형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