요즘 말 한마디 하지 않고도 터치 스크린 몇 번만 누르면 음식이 주문되는 무인 주문 시스템이 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기계에 밀려 일자리가 줄어드는게 아니냐는 걱정도 나옵니다. 최저시급 만 원 인상 움직임과도 무관치 않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이현용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<br />[리포트]<br />서울의 한 대학가에 위치한 도시락 전문점. 종업원이 아니라 무인 주문기가 먼저 손님을 맞이합니다. <br /> <br />[진민표 / 서울 서대문구] <br />"빠르게 주문할 수 있어서 편리한데 점원들에게 음식에 대해 물어볼 수 없어서…" <br /><br />"이 매장의 주문과 결제는 무인주문기 5대를 통해 이뤄지는데요. 설치 전 종업원 4명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습니다." <br /> <br />[이현석 / 도시락 체인점 점장] <br />"고객의 주문 대기 시간이 많이 줄어들면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었고… 인력을 주방이나 홀에 배치함으로써 고객 만족도가 매우 높아졌습니다." <br /><br />이 도시락 업체의 무인 주문 시스템 운영 점포는 현재 40곳에서 올해 말 200곳으로 늘어날 전망입니다. <br /><br />국내 패스트푸드점에서도 무인 주문기 도입이 늘어나는 추세입니다. <br /><br />무인 주문 시스템의 확산은 최저시급 만 원 인상 움직임과 무관치 않아 보입니다. <br /> <br />[이병태 / 카이스트 경영대 교수] <br />"자동화 투자와 인건비는 상관관계가 크기 때문에 최저임금을 높이면 대기업은 자동화로 대응을 할 겁니다. 중소기업은 고용을 축소하는 걸로… " <br /> <br />주문을 받고 계산하던 업무를 기계가 대체하면서 일자리 감소 우려가 나옵니다. <br /> <br />직원 재교육과 직무 재배치를 통해 업계와 근로자가 상생할 수 있는 해법을 찾아야 한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채널A 뉴스 이현용입니다. <br /> <br />이현용 기자 hy2@donga.com <br />영상취재: 김찬우 <br />영상편집: 김태균 <br />그래픽: 양다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