국무총리 외교부 장관에 이어 공정거래위원장까지 위장전입이 확인되자 청와대가 "죄송하다"고 사과했습니다. 하지만 김상조 후보자 사례를 두고 '비난 받을 문제는 아니라'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 최재원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 <br /> [리포트]<br /> [지난 3월] <br /> 병역 면탈, 부동산 투기, 세금 탈루, 위장 전입, 논문표절의 5대 비리 행위자는 고위 공직 임용에서 철저히 배제하겠습니다. <br /> <br /> 선거 기간 5대 인사 원칙을 제시했던 문재인 대통령. <br /> <br /> 그러나 이낙연, 강경화, 김상조 등 공직 후보들이 잇따라 위장전입 의혹에 휘말렸습니다. <br /> <br /> 청와대는 높은 도덕적 기준으로 검증했지만, 인사 원칙을 지키기 어려웠다며 사과했습니다. <br /> <br /> [임종석 / 대통령 비서실장] <br /> 선거캠페인과 국정운영이라는 현실의 무게가 기계적으로 같을 수는 없다는 점을 솔직하게 고백하고 양해를 부탁드립니다. <br /> <br /> 다만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자의 위장전입 논란에 대해서는 "검증을 했지만 비난받을 문제는 아니"라고 해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 논란이 커지자 집권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과거 위장전입 문제를 이유로 인사에 비협조적있던 점을 고백한다며 이제 새로운 기준을 세우자고 정치권에 협조를 구했지만, 야당은 대통령이 직접 나서라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 [경대수 / 자유한국당 의원] <br /> 대통령께서 가부간에 말씀이 있으셔야될 것 같은… <br /> <br /> [이언주 / 국민의당 의원] <br /> 물건이 너무 하자가 심해서 도저히 팔아줄 수 없는, 물건을 파시는 분이 뭔가 해명을 좀 하셔야… <br /> <br /> 사과에도 불구하고 논란이 계속되면서 문재인 대통령은 후속 인사 발표를 앞두고 부담을 안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 채널A 뉴스 최재원입니다. <br /> <br /> 영상취재: 김기범 이 철 <br /> 영상편집: 김태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