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“나는 군함도 4416번이었다”…생생한 증언

2016-11-01 11 Dailymotion

조선인들이 강제징용돼 지하 탄광에서 일했던 곳.<br /><br />일본의 작은 섬인 군함도입니다.<br /><br />관련 영화 개봉을 앞두고 이 섬이 다시 주목받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실제로 군함도에서 강제 노역에 시달렸던 생존자의 생생한 증언을 들어봤습니다.<br /><br />김설혜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사내용]<br />일본 나가사키항에서 남서쪽으로 18km 떨어진 곳. <br /><br />군함 모양을 닮아 '군함도'라고 불리는 일본명 '하시마' 섬입니다.<br /> <br />1940년에서 1945년 사이 수많은 조선인들이 이 섬에 끌려갔습니다.<br /><br />[김형석(97) / 군함도 강제징용 피해자] <br />"1943년 11월 17일, 음력으로는 10월 20일날이었어.이장이 그래요. 징용장이 나왔으니까 이 사람들 따라가야겠다."<br /><br />이렇게 시작된 군함도에서의 생활.<br /><br />밤낮없이 지하 탄광에서 중노동에 시달려야만 했습니다.<br /><br />[김형석(97) / 군함도 강제징용 피해자] <br />"징용에 끌려가서 땀 흘리면 탄가루 묻은 수건으로 닦으니까 눈이 못쓰게 된 거지"<br /><br />강제징용된 조선인들은 1000미터 깊이의 비좁은 탄광에서 최대 16시간을 일했습니다.<br /><br />탄광 안은 습도가 90%에 이르고 온도가 45도에 이르는 등 그야말로 처참한 환경이었습니다.<br /><br />김형석 할아버지는 당시 4416번으로 불렸습니다.<br /><br />[김형석(97) / 군함도 강제징용 피해자] <br />"번호가 있어. 4416번. 그것이 내 번호요. 일본 말로 욘센 욘햐쿠 쥬 로쿠"<br /> <br />가장 큰 고통은 배고픔. <br /><br />콩기름을 짜고 남은 찌꺼기로 끼니를 때우며 일했지만, 아무것도 주어지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피해자들의 한이 서린 군함도는 2년 전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됐습니다.<br /><br />군함도의 아픈 역사까지 모두 밝힌다는 '조건부 등재'였지만, 등재 직후 일본은 강제 징용을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호사카 유지 / 세종대학교 교양학부 교수]<br />"일본은 군함도가 일본의 산업혁명에 대단히 도움이 되었던 밝은 부분만 보이려고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했습니다."<br /><br />숨겨진 과거사에 대한 해결 없이 한일 관계의 진정한 복원은 요원하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채널A 뉴스 김설혜입니다.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