청와대는 오늘 공개한 문서 300종 가운데 원본은 국가기록원에 복사한 사본은 검찰에 넘기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검찰이 지난해 그토록 압수수색해 손에 넣으려 했던 자료들 가운데 일부입니다. <br /> <br />이동재 기자입니다. <br /><br />[리포트]<br />특검과 검찰은 '국정농단 수사' 당시 여러 차례 청와대 압수수색을 시도했지만 매번 무산됐습니다. <br /> <br />[이규철 / 전 특별검사보 (2월 3일)] <br />"영장의 집행 장소 및 대상을 최소한으로 하였음에도 청와대가 불승인한 점에 대하여 유감의 뜻을 표명하는 바입니다." <br /><br />'깜깜이' 상태였던 청와대 민정수석실 자료 300종이 무더기로 베일을 벗음에 따라, '국정농단 재수사'의 동력이 마련됐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<br />특히 '삼성의 당면 과제 해결에 정부도 상당한 영향력이 행사 가능하다'는 부분과 '경제민주화 법안 대응, 규제완화 지원' 대목은 삼성의 경영권 승계에 청와대가 개입했을 수도 있다는 정황증거로 풀이됩니다. <br /><br />또 "문화예술계 건전화로 건전보수권을 국정 우군으로 적극 활용"한다는 내용도 있어 한창 진행 중인 '문화계 블랙리스트' 재판에도 적잖은 영향을 줄 전망입니다. <br /><br />또 이 문건이 민정수석실 자료인만큼 두 차례 구속을 피한 우병우 전 민정수석이 '수사 2라운드'를 맞이할 가능성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청와대는 민정수석실 문건 사본을 조만간 검찰로 넘긴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채널A뉴스 이동재입니다. <br /> <br />이동재 기자 move@donga.com <br />영상취재 : 김기범 이 철 <br />영상편집 : 배시열