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어폰을 귀에 꽂고 스마트폰을 보고 있는 남성, 그런데 이 남성 횡단보도 신호를 보지 못하고 길을 건너다가 끔찍한 사고를 당합니다. <br /> <br />(현장음) <br />"여성 비명소리" <br /> <br />스위스에서 연출해 만든 공익광고입니다. <br /> <br />'스몸비', 스마트폰과 좀비를 합쳐 만든 단어로 온종일 스마트폰에 빠져 있는 사람을 말합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에선 10명 중 7명이 스마트폰을 쓰고 있는데 스마트폰 관련 교통사고는 해마다 급증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2011년 624건에서 2015년 1360건으로 2배 넘게 증가한 겁니다. 스몸비들의 사고를 막기 위한 안전시설, 장치들도 속속 등장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홍유라, 성혜란 두 기자가 이어서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리포트]<br />광화문 세종대로 네거리 10분간 횡단보도를 건너는 시민들을 관찰해 봤습니다. 87명 중 24명이 스마트폰을 보면서 길을 건넜습니다. <br /><br />[정현준/서울 용산구] <br />"휴대전화를 보고 걸으면서 인지하지 못해 주위에 오토바이나 차들이 지나가는 것에 깜짝 놀란 일이 많았습니다." <br /> <br />스마트폰을 보던 보행자들의 사고가 잇따르면서 길에는 스마트폰 정지선도 등장했습니다. 스마트폰을 주시하며 걷다가도 횡단보도 앞에 도착하면, 스마트폰 아래로 노란색의 경고선이 보이도록 한 겁니다. <br /> <br />지난 5월 서울 성북구 다섯 개 횡단보도에 시범적으로 설치했습니다. <br /> <br />[강대범/서울 성북구] <br />"위험하니까 한 취지는 좋은 것 같은데 좀 더 눈에 띄게 하면 좋지 않을까 생각해요." <br /> <br />이미 독일에선 눈에 더 잘 띄도록 점선 형태의 붉은색 신호등을 횡단보도 양쪽 끝 바닥에 설치했으며 <br /> <br />벨기에는 '문자메시지를 보내는 길'이라는 스마트폰 사용 전용 보행길을 따로 만들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뉴저지에서는 걷는 중 스마트폰을 쓰면 과태료를 부과하는 등 스마트폰 사용 보행자에 대한 안전대책을 적극적으로 마련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채널 A뉴스 홍유라입니다. <br /><br />영상취재 : 채희재 <br />영상편집 : 이재근<br /><br />[리포트]<br />[성혜란 기자] <br />스마트폰을 보고 걸으면 사고 위험이 76% 높아진다는 연구결과도 있는데요. 제가 한 번 스마트폰을 보면서 도심거리를 걸어보겠습니다. <br /><br />스마트폰을 들여다보느라 걸음걸이는 느려지고, 사람들이 옆을 지나가도 알아차리기 쉽지 않습니다. 스마트폰을 보면서 걸으면 1분에 4m씩 뒤쳐집니다. <br /><br />시야는 어떨까. <br /><br />화단에 걸려 넘어질 뻔한 위기만 수 차례. 스마트폰을 보면서 걸을 때 시야는 무려 56%나 좁아집니다. <br /><br />걸으면서 스마트폰으로 문자를 보내면 소리를 인지할 수 있는 거리가 절반으로 줄어듭니다. <br /><br />[류준범 / 도로교통공단 선임 연구원] <br />"운전자의 경우에도 주의 분산으로 인해 보행자를 인식하지 못해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보행 중에는 항상 주의를…." <br /><br />영국의 앵글리아 러스킨대 연구진은 스마트폰 이용자들이 걸을 때 장애물을 피하기 위해 발은 높게 들고, 평소보다 느리게 걷는다며 스마트폰이 사람들의 걸음걸이까지 바꾸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<br />채널A뉴스 성혜란입니다. <br /><br />영상취재: 이기상 <br />영상편집: 이태희 <br />그래픽: 손윤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