여러분 안녕하십니까. 정부가 북한에 대한 강경 대응을 계속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사드 발사대 추가 배치에 이어 대북 독자 제재안 마련에 착수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북한과 불법 거래를 하는 중국과 러시아 기업들을 제재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. <br /> <br />김도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리포트]<br />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 직후 문재인 대통령은 "곳간을 뒤져서라도 한국이 독자적으로 할 대북제재 방안이 있는지 살펴보자"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미 7년 전 남북경협이 중단됐고 1년 넘게 개성공단까지 멈춰 선만큼 수단이 마땅치 않지만 뭐든지 하겠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김현욱 / 국립외교원 교수] <br />“지금 현실적으로 우리가 독자 제재를 펼 수 있는 마땅한 카드는 많지 않습니다. (대화 제의를 미루는) 소극적인 제재가 가능하지 않을까.” <br /><br />정부는 북한과 불법거래를 하는 기업, 북한에게 핵과 미사일 관련 거래를 하는 기업을 우리가 제재하는 방안을 검토중입니다. <br /><br />중국과 러시아 기업이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박근혜 정부가 돈세탁에 관여한 중국 훙샹그룹에게 비슷한 조치를 한 바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성향이 다른 문재인 정부까지 상징성이 큰 방안을 검토중이란 뜻입니다. <br /> <br />이들 외국기업은 평소 우리와 거래가 거의 없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 만큼 독자 제재 카드가 직접 타격을 줄 순 없지만 중국과 러시아의 대북 제재 동참을 압박하는 수단으로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. <br /> <br />또 김정은의 여동생 김여정을 블랙리스트에 포함시키는 것도 정부는 고심 중입니다. <br /> <br />채널A 뉴스 김도형입니다. <br /> <br />dodo@donga.com <br />영상취재 : 박연수 <br />영상편집 : 오영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