무너지고, 넘치고, 쓰러지고... 큰 비는 안올거라 예보됐지만, 물 폭탄이 쏟아져 놀라고, 당황하셨을텐데요. <br /> <br />기상청이 '날씨 중계청'을 넘어, '오보청'이 됐다는 농담까지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값비싼 예보용 위성과 슈퍼 컴퓨터도 제 구실을 못했다고 하는데요. <br /> <br />감사원은 기상청의 예보 적중률이 50%도 안된다고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다해, 윤승옥 기자가 차례로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리포트]<br />지난달 예보와 달리 기습 폭우로 물난리가 났던 청주. <br /> <br />[현장음] <br />"밥을 먹고 있는데 물이 차오르는 거예요." <br /> <br />불과 1주일 만에 인천도 쑥대밭이 되면서 기상 예보 신뢰도는 더 떨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감사원의 감사 결과 최근 5년간 강수 적중률이 46%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 <br /> <br />시민들은 예상했다는 반응. <br /> <br />[김복남 / 인천 남동구] <br />"저도 거기(감사 결과) 공감해요. 안 맞아요 진짜." <br /> <br />[정재옥 / 부산 북구] <br />"우산 안 들고 나갔는데 비가 올 때도 많았고 최근에 좀 많이 안 맞는 것 같아요." <br /><br />특히 지난해 강수 적중률은 45.2%로 2012년보다 2.5%포인트 하락.<br /> <br />강수 확률 예측 정확도가 90%가 넘는다던 기상청 발표가 무색합니다. <br /> <br />기상청은 산출 방식에 차이가 있다는 입장. <br /> <br />[김용진 / 기상청 예보정책과] <br />"기상청 예보 정확도는 맑은 날 맑다고 예보한 것도 가치가 있기 때문에 모든 것을 포함했지만 감사원 감사 결과는 오로지 비 예보에만 집중해서 산출한 정확도이기 때문에…" <br /> <br />국민들이 실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기상 정보가 제공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채널A 뉴스 이다해입니다. <br /> <br />영상취재: 이기상 <br />영상편집: 이재근 <br />그래픽: 조한결<br /><br />예보 적중률을 높이기 위해 그동안 기상청도 투자를 아끼지 않았습니다. <br /><br />2010년 3500억 원을 들여 한국 최초의 기상 위성인 천리안을 쏘아올렸습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위성의 기본 수명이 다하는 올해까지 실제 우리 예보에 활용조차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<br />천리안은 3만 6천km 높이에서 우리나라 기상을 24시간 관측해 지상에 정보를 전달합니다. <br /><br />가로,세로 100km 크기로 전송되는 천리안 기상정보가 고해상도 정보만 처리할 수 있는 현재 예측 프로그램에서 쓸 수 없다는 게 기상청의 주장.<br /><br />똑같은 방식을 쓰는 영국은 이미 해법을 찾아 활용하고 있는데 우리는 600억 짜리 슈퍼컴퓨터를 도입해놓고도, 여전히 연구 단계에 있는 겁니다. <br /><br />[김윤재/ 기상청 수치모델 개발 과장]<br />"한국에서의 여름철 날씨에 맞춰서' 활용했을 때 어떤 성능이 나오는지 테스트했다는 것, 문제점이 무엇인지 파악했다는 것도<br />과학적 진보는 이뤄지고 있다고..."<br /><br />지진과 관련해서도 국내 면적의 20%가 관측 대상에서 빠져 있고, 지진통보 시간도 일본보다 크게 느린 것으로 감사 결과 드러났습니다.<br /><br />기상청은 2년 안에 한국형 예측 프로그램을 완성하고 내년 천리안 2호를 추가로 발사해 정확도를 높이겠다고 하지만 새 위성의 활용 기술 계획조차 아직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<br />채널A 뉴스 윤승옥입니다.<br /><br />윤승옥 기자 touch@donga.com<br />영상취재: 이기상<br />영상편집: 오영롱<br />그래픽: 김승욱