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반도 문제를 주도적으로 끌고 가고 싶지만, '힘이 없다'는 한계도 느꼈다는 문재인 대통령이 작은 승부수를 뒀습니다. <br /> <br />오늘 북한에 군사회담과 이산가족 상봉회담을 동시에 열자고 제안했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 최선, 김철웅 기자가 이어서 보도합니다. <br /><br />[리포트]<br />[서주석 / 국방부 차관] <br />"남북 군사 당국 회담을 7월 21일 판문점 북측 지역 통일각에서 개최할 것을 북측에 제의합니다." <br /> <br />국방부는 지난 2014년 10월 이후 중단된 군사회담을 열자고 제안했습니다. <br /> <br />회담 장소로 판문점 북측 지역인 통일각을 제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를 두고 북한을 회담 테이블에 앉히기 위해 배려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회담이 성사되면 지난 2000년 이후 50번째 군사회담이 됩니다. <br /><br />회담 의제로는 확성기 방송과 전단 살포 문제 등이 우선 거론됩니다. <br /> <br />이 같은 내용은 북한에서도 체제 존엄과 관련해 관심이 많은 사안들입니다. <br /><br />[김정은 / 노동당 위원장 (지난해 5월)] <br />"북남 군사 당국 사이에 회담이 열리면 군사분계선 일대에서의 충돌 위험을 제거하고 긴장 상태를 완화하는 것을 비롯하여…" <br /> <br />[최선 기자] <br />정부는 군사회담에 이어 민간 차원의 교류를 확대하는 방안도 제안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5년 이후 중단된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재개하자는 겁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추석 명절인 10월 4일을 희망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서 김철웅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최선 기자 beste@donga.com <br />영상취재: 조승현 한효준 <br />영상편집: 박형기 <br />그래픽: 박정진 원경종 <br /> <br /> =====<br /><br />[김철웅 기자]<br />이산가족 상봉 행사 제안도 문재인 대통령의 ‘신베를린 선언’의 후속 조치 성격에서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북측에 판문점 연락사무소를 통해 회신해줄 것을 요청했습니다.<br /><br />성사될 경우 지난 2015년 10월 이후 2년 만입니다.<br /><br />국방부가 군사회담을 제안한 바로 그 시각.<br /><br />적십자사는 이산가족 상봉을 제의했습니다.<br /><br />[김선향 / 대한적십자사 회장 대행]<br />"올해 10월 4일을 계기로 이산가족 상봉행사와 성묘 방문을 진행할 것을 제안한 바 있습니다."<br /><br />실무 논의를 위한 적십자 회담은 다음 달 1일 우리 측 지역인 평화의 집에서 열자고 했습니다.<br /><br />군사회담 장소와 균형을 맞춘 겁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인권 문제로 접근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[조명균 / 통일부 장관]<br />"남북의 많은 고령의 이산가족들이 생전에 한 번만이라도 가족을 만나고 성묘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."<br /><br />현재 이산산봉 신청자는 약 13만 명으로 이 중 절반은 이미 세상을 떠났고 생존한 상당수도 70대 이상의 고령입니다.<br /><br />채널A 뉴스 김철웅입니다.<br /><br />김철웅 기자 woong@donga.com<br />영상취재 : 이기상<br />영상편집 : 김태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