어제 발생한 K-9 자주포 폭발사고의 사망자가 2명으로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K-9은 우리 군의 주력포인데도 지난 5년동안 고장으로 멈춰선 게 1천 7백번이 넘습니다. <br /> <br />원인 파악이 시급해 보입니다. 김기정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리포트]<br />국군수도병원에서 치료 중이던 22살 정모 일병이 오늘 새벽 숨졌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폭발사고로 숨진 장병은 안전통제관 27살 이모 중사에 이어 모두 2명으로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군은 외부 전문가와 함께 장비나 탄약 결함, 또는 장병들의 조작 실수까지 염두에 두고 사고 원인을 파악 중입니다. <br /><br />진상조사엔 상당 시일이 걸릴 전망인데 그 동안 K-9 자주포의 실사격 훈련은 제한됩니다. <br /><br />최전방에 집중 배치된 우리 군의 주력포인데 위중한 시기에 화력이 봉인이 된 겁니다. <br /> <br />K-9은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때도 탄이 걸려 대응 사격을 못하는 등 결정적 순간마다 고장이 발목을 잡았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고장으로 멈춰선 횟수만 무려 1708번입니다. <br /><br />보수야당은 주력 자주포의 잦은 고장을 우려하며 대책을 주문했습니다. <br /> <br />[강효상 / 자유한국당 대변인] <br />"군 당국의 무기관리 시스템에 문제가 있었는지 여부에 대해 철저히 검증하고 확실하게 책임을 물어야 할 것입니다." <br /><br />방사청은 내년부터 노후화된 K-9의 성능 개량 작업에 착수합니다. <br /> <br />채널A 뉴스 김기정입니다. <br /> <br />김기정 기자 skj@donga.com <br />영상취재 : 조승현 <br />영상편집 : 민병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