조국을 위해 싸웠는데 도리어 정부와 싸워야 하는 처지가 되면 심정이 어떨까요. <br /> <br />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 당시 부상을 당한 한 군인의 외로운 법정 투쟁을 지난 4월 저희 채널A가 보도해드렸는데요, <br /> <br />2년의 소송 끝에 국가유공자로 인정받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김유빈 기자입니다. <br /><br />[리포트]<br />2010년 11월 23일. 연평도에서 해병대 하사로 복무 중이던 박성요 씨와 동료 군인들을 향해 포탄이 날아왔습니다. <br /> <br />포탄 파편은 박 씨의 허벅지를 관통했고 곁에 있던 후임 문광욱 일병은 전사했습니다. <br /> <br />[박성요 / 지난 4월] <br />"저희가 잠시 휴식을 취하러 나왔는데 그 때 북한에서 포를 쏴가지고." <br /> <br />박 씨는 전역 뒤에도 폭발음 환청에 시달렸습니다. <br /><br />하지만 보훈지청은 신체검사 결과 장애등급에 미달된다는 이유로 박 씨를 국가유공자 심의에서 탈락시켰습니다. <br /> <br />박 씨는 유공자로 인정받기 위해 지난 2015년 행정소송을 내 승소했지만, 보훈지청이 항소하면서 다시 국가를 상대로 긴 싸움을 해야 했습니다. <br /> <br />[박성요] <br />"꼭 이 나라에서 살아야 하나 이 생각도 들고. 다른 나라 같으면 이렇지 않을텐데 이런 생각도 들고." <br /> <br />2심 재판부는 박 씨가 장애등급 7급에 해당한다고 판단하고, 유공자 지정에서 탈락시킨 처분을 취소하라는 '조정 권고안'을 냈습니다. <br /> <br />[박성요] <br />"이렇게 많은 시간이 걸릴 줄 몰랐어요. 좀 많이 울컥했어요." <br /> <br />국가보훈처는 "박 씨에게 상이등급 7급을 부여하겠다"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[국가보훈처 관계자] <br />"국가유공자 신청한 날이 2014년 5월 22일이에요. 소급 적용돼서 그동안 받지 못한 수당을 받게 되는 거죠." <br /> <br />연평도 포격 사건 부상자 16명 가운데 4명은 아직도 유공자로 인정받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채널A 뉴스 김유빈입니다. <br /> <br />김유빈 기자 eubini@donga.com <br />영상취재 : 한효준 <br />영상편집 : 배영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