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10개월 만에 막내린 4당 체제...정계 개편 이어지나? / YTN

2017-11-06 0 Dailymotion

바른정당 통합파 의원 9명이 탈당과 함께 자유한국당 복귀를 선언하면서 바른정당도 원내 교섭단체 지위를 잃게 됐습니다.<br /><br />4당 체제가 10개월 만에 마감되면서 추가 정계 개편으로 이어지게 될지가 최대 관심입니다.<br /><br />조태현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우리 헌정사에서 원내 교섭단체 4개가 존재하는 이른바 '4당 체제'는 두 차례 있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1988년 노태우 대통령과 김대중, 김영삼, 김종필 대표 등이 독자 정당으로 선거에 나선 13대 총선 직후,<br /><br />그리고 19대 대선을 앞둔 올 1월 바른정당이 출범하면서입니다.<br /><br />[대한뉴스 (1990년 1월 23일) : 집권 여당인 민주정의당과 통일민주당, 신민주공화당 3당은 합당하기로 합의함으로써 우리 헌정 사상 처음으로 가장 의의 깊은 정계 개편이 이뤄졌습니다.]<br /><br />헌정사상 첫 여소야대를 만들었던 4당 체제는 1990년 3당 통합이라는 인위적 정계 개편으로 사라집니다.<br /><br />[노태우 / 前 대통령 (1990년 1월 23일) : 온 국민이 값비싼 대가를 치르면서 얻은 명백한 결론은, 현재의 정치구조가 오늘의 국가적 문제를 해결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입니다.]<br /><br />바른정당 통합파 의원의 탈당으로 20대 국회에서 만들어졌던 4당 체제도 10개월 만에 막을 내렸습니다.<br /><br />보수 통합 논의에 따른 자발적인 개편이라는 점이 1990년과는 다릅니다.<br /><br />[김용태 / 바른정당 의원 : 원래 저희가 가졌던 생각, 바른정당과 자유한국당의 보수 대통합, 당 대 당 통합의 취지를 살릴 방안이 있는지에 대해 지금부터 더 논의하겠습니다.]<br /><br />그러나 90년 3당 합당에서 보듯 4당 체제의 해소는 자연스럽게 정계 개편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당장 바른정당 잔류파 의원들과 국민의당의 정책 또는 선거 연대 논의가 이뤄지면 자연스럽게 통합 논의로까지 발전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방선거를 앞두고 독자 생존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바른정당 잔류파 의원이 자유한국당이나 국민의당으로 개별 합류할 가능성도 없지 않습니다.<br /><br />만약 독자 전략을 고수하는 더불어민주당이 여당 몸집 불리기로 방향을 전환하면 개편 폭이 커지게 됩니다.<br /><br />결과적으로 내년 지방선거를 전후해서 정계 개편 논의가 여의도 정가를 끊임없이 달굴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.<br /><br />YTN 조태현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71106165838837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