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전국의 어린이집들이 맞춤형 보육에 대한 정부의 제도 보완 약속에도 불구하고 이번 주에 집단 휴원을 강행할 것으로 보여 학부모들이 속앓이를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야권도 시행 연기를 거듭 요구하고 나서 맞춤형 보육이 예정대로 다음 달에 들어갈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.<br /><br />권오진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보건복지부는 맞춤형 보육에 대한 논란이 거세지자 제도를 일부 보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우선 맞춤반(6시간) 보육료 지원액을 원래 계획했던 종일반(12시간) 보육료의 86% 수준에서 96% 수준으로 높이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또 종일반 이용이 가능한 다자녀 기준을 종래 3자녀에서 쌍둥이, 연년생에 한해 2자녀도 일부 허용해 완화하는 방침을 세웠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최대 규모의 민간 어린이집 운영자 단체인 한국민간어린이집연합회는 이를 수용하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맞춤형 보육 시행 계획을 철회하지 않을 경우 오는 23과 24일 1차 집단 휴원을 하고, 제도를 강행하면 다음 달 4일부터 사흘간 2차 휴원에 들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한국가정어린이집연합회 역시 인건비 지원 확대 등을 요구하며 집단 휴원을 검토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들이 휴원을 강행할 경우 파장이 만만치 않을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지난해 말 현재 민간 어린이집 비중은 전체시설의 34.4%, 보육 아동의 51.5%에 달하고 가정 어린이집까지 합하면 전체 시설의 86.3%, 보육 아동의 75.2%를 차지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들 단체를 분과로 두고 있는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가 집단행동에 미온적이어서 어린이집이 휴원에 얼마나 동참할지는 미지수입니다.<br /><br />이 때문에 휴원할 경우 당장 아이들을 맡길 곳이 없는 학부모들은 불안해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어린이집들이 보낸 휴원 찬반 안내문에 반대를 표시하기가 쉽지 않아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실정입니다.<br /><br />야권도 어린이집 등 당사자와의 협의를 시행 선결 조건으로 내세우며 맞춤형 보육 연기를 거듭 구하고 있어 다음 달 1일 시행이 점점 불투명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권오진[kjh0516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60620062134743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