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최상목 / 기획재정부 1차관<br /><br />[앵커]<br />세계경기 침체와 부실산업 구조조정에다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까지 겹치면서 우리 경제에 먹구름이 짙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어느 때보다 정부의 대책이 중요한 데요. 오늘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을 통한 재정 투입, 친환경 소비 촉진 방안 등 하반기 경제정책 방안을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최상목 기획재정부 1차관 모셨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안녕하세요?<br /><br />[앵커]<br />우리나라 경제 정책을 총괄하시는 위치에 계시는데 하반기 경제 정책을 오늘 발표하지 않았습니까? 그런데 지금 바로 지난주 금요일에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라는 하나의 변수가 생기지 않았습니까?<br /><br />그래서 금융시장이 상당히 걱정스러웠었는데 금요일 하루를 제외하고 어제오늘은 상당히 안정을 찾는 그런 모습이에요.<br /><br />[인터뷰]<br />다행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어떤 평가를 하고 있습니까, 정부에서는. <br /><br />[인터뷰]<br />기본적으로 이번의 브렉시트의 발원지인 영국이 우리 전체 수출 중에서 차지하는 것이 0.1%밖에 차지하지 않습니다.<br /><br />그래서 영국하고의 직접적인 무역이나 금융의 연계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습니다. 그래서 일단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보는 게 일반적인 견해입니다마는 정부는 두 가지 점에 주목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하나는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입니다. 그래서 앵커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어제 오늘은 조금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습니다마는 언제든지 국제금융시장이 출렁거리게 되면 우리나라 금융 외환 시장도 자유로울 수가 없습니다. <br /><br />그래서 정부에서는 지금 24시간 모니터링 체제를 구축하고 있고요. 또 필요하다면 시장 안정조치를 준비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 두 번째 저희가 주안점을 두는 것은 이게 장기전이 될 것이라는 겁니다. 영국이 지금 EU을 탈퇴하는 과정 그리고 또 EU와의 새로운 관계를 정립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변수가 앞으로 있을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렇게 되면 유럽 경제에도 안 좋은 영향을 줄 수도 있고 또 중국 경제, 세계 경제에도 안 좋은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저희가 이것에 대해서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준비를 해 나가야 될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정부가 가장 중점적으로 눈여겨보고 있는 대목은 어떤 부분인가요? <br /><br />[인터뷰]<br />일단은 탈퇴하는 데도 한 2년 걸릴 것이고요. 그리고 재협상하는 데에도 5년, 10년이 걸릴 수 있다고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60628164953831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