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장맛비가 길게 이어지고 많은 비가 내리면 땅이 흡수할 수 있는 수분 포화량이 한계에 달합니다.<br /><br />이럴 경우 시간당 30mm의 비에도 산사태가 날 가능성이 급격히 커집니다.<br /><br />김진두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산정상에서 밀려온 토사가 아파트를 순식간에 덮칩니다.<br /><br />16명의 목숨을 앗아간 우면산 산사태입니다.<br /><br />당시 서울에는 시간당 100mm 안팎의 집중호우가 쏟아졌습니다.<br /><br />당시 상황을 재현해봤습니다.<br /><br />38도 기울어진 경사면에 모래를 부어 만든 인공 산.<br /><br />시간당 100mm의 비를 뿌려주자 한 시간 만에 무너져 내립니다.<br /><br />절반 정도 줄인 시간당 60mm의 비에도 1시간 20분 만에 산사태가 일어납니다.<br /><br />빗물이 토양층에 스며들어 무거워지면 암반에 붙어있지 못하고 중력에 의해 아래로 쓸려 내려가는 겁니다.<br /><br />[이창우 / 산림과학원 산림방재 연구과 : 젖은 토양보다 마른 토양이 상대적으로 산사태 위험성은 적지만 일순간에 폭우가 쏟아지게 되면 산사태 위험은 항시 존재하게 됩니다.]<br /><br />폭우가 아니더라도 꾸준히 많은 비가 내리면 산사태 발생 가능성은 급격히 증가합니다.<br /><br />다만 산사태는 발생 30분에서 1시간 전쯤 징조가 있어 주의를 기울이면 최악의 사태를 피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산간지역에서 바람도 없는데 나무가 흔들리거나 산울림이나 땅 울림이 들리면 산사태가 발생할 조짐입니다.<br /><br />경사면에 갑자기 물이 솟구치거나 잘 나오던 샘물이나 지하수가 멈출 때도 산사태를 의심해야 합니다.<br /><br />3년 만에 찾아온 장마철 국지성 호우에 산사태에 대한 철저한 경계가 필요해 보입니다.<br /><br />YTN 김진두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8_20160704221156197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