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동결했습니다.<br /><br />경기침체가 장기화되고 미국 금리 인상 시기가 계속 늦춰지고 있긴 하지만 브렉시트 이후 국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진 만큼 금리가 동결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습니다.<br /><br />이와 관련해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직접 설명하는데요. 현장으로 가보겠습니다.<br /><br />[이주열 / 한국은행 총재]<br />오늘 금융통화위원회는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현재의 1. 25%로 유지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. 그 배경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지난 달 통화정책 방향 결정 회의 이후의 대외여건 변화를 보면 세계경제의 회복세가 더딘 상황에서 영국의 EU 탈퇴 결정 등으로 글로벌 금융 경제의 불확실성이 한층 커졌습니다.<br /><br />주요국별로 경제 상황을 살펴보면 먼저 미국의 경우 전 월에 부진했던 고용지표가 6월에 호전되고 소비도 증가하는 등 개선 흐름이 이어갔으며 중국도 완만한 성장세를 유지하였습니다.<br /><br />유로 지역은 브렉시트의 영향으로 성장의 하방리스크가 높아졌으며 일본은 성장세가 여전히 미약한 상황입니다. <br /><br />국제금융시장은 브렉시트 결정 직후 글로벌 주가가 급락하는 등 불안정한 움직임을 보였으나 주요국의 신속한 정책 대응 등에 힘입어서 빠르게 안정을 되찾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국내 실물경제는 내수를 중심으로 개선 움직임을 나타냈습니다. 소비가 승용차 판매 호조 등으로 증가하였으며 건설투자도 주택 부문을 중심으로 개선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수출의 경우 감소세가 이어졌지만 그 폭은 줄어들었습니다. 앞으로 국내 경제는 확장적 거시경제 정책 등에 힘입어 완만한 성장세를 이어가겠으나 대내외 경제 여건 등에 비추어 성장 경우의 불확실성은 높은 것으로 판단됩니다.<br /><br />6월 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월과 같은 0. 8%을 나타내었으며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인플레이션율은 1. 7%로 전월보다 다소 높아졌습니다.<br /><br />소비자물가는 당분간 낮은 오름세를 이어가다가 저유가로 인한 물가의 하방 압력이 약해지면서 상승률이 점차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pn/0301_20160714112255164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