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바다와 육지의 경계인 연안과 하구의 생태환경을 복원하기 위한 '역간척 사업'이 충남에서 추진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충청남도는 사업 대상지 가운데 하나로 보령호를 선정했는데, 한국농어촌공사가 농업용수 공급 계획 차질 등을 우려하며 제동을 걸고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이상곤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방조제를 만들고 바닷물을 차단해 조성한 보령호입니다.<br /><br />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25년 전부터 개발 사업이 진행돼 현재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상류에서 유입되는 축사 폐기물로 인해 수질은 6등급까지 떨어진 상태입니다.<br /><br />충청남도는 이곳 보령호의 수질이 나빠져 농업용수로는 사용할 수 없다며 최근 생태 환경 복원 계획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수문을 열고 바닷물을 순환시켜 수질을 개선해 바지락 등 어족 자원을 복원하는 '역간척 사업' 대상지로 보령호를 선정한 겁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보령호를 조성하던 한국농어촌공사가 습지 조성 등이 마무리되면 수질이 개선된다며 제동을 걸고 나섰습니다.<br /><br />또, 충청남도가 농업용수 확보 등에 대안도 없이 국가사업을 중단하려고 한다며 수천억 원의 예산이 낭비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[한광석 / 한국농어촌공사 천수만사업단장 : (농업용수 확보 등) 대안이 없었다는 거죠. 국가사업 자체를 막바지에 와 있는 상황에서 멈췄다고 하는 것은 안 맞는 것 같습니다.]<br /><br />이에 대해 충청남도는 금강 물을 보령댐으로 보내는 수로를 연장하면 농업용수 공급이 가능해 문제가 없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또, 보령호 생태 환경이 복원되면 연간 3백억 원의 경제적 효과가 예상돼 복원 사업이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[최문희 / 충청남도 개발정책·공공기관이전 팀장 : 농업용수로 사용하는 것보다는 자연환경을 보전해서 바다로서의 가치를 가지고 가는 게 훨씬 더 효과가 크다고 생각합니다.]<br /><br />충청남도는 연안과 하구의 생태환경 복원을 위해 특별법 제정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민선 6기 역점 역간척 사업이 대상지 선정부터 마찰을 빚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이상곤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60803001133545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