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연일 계속되는 불볕더위에 에어컨 등 냉방기구 사용이 늘면서 전기요금에 대한 걱정이 커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학교 역시 예외일 수 없습니다.<br /><br />특히 기본료가 전체 금액의 40%를 넘는 교육용 전기요금 체계도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지영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지난 2일 조기 개학을 한 서울 시내 한 고등학교, 교실마다 에어컨을 가동해 실내 수업에 지장은 없었지만 꺾일 줄 모르는 불볕더위에 3일 동안 재량 휴업을 결정했습니다.<br /><br />[학교 관계자 : 수업 질도 많이 떨어지고 교사나 학생들이 잠을 제대로 못 이루고 와 가지고….]<br /><br />이처럼 일찌감치 개학한 전국의 일부 고등학교에서는 냉방 기구를 종일 가동하면서 전기요금에도 부담을 느끼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교육용 전기요금은 가정용처럼 누진제가 적용되지는 않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여름과 겨울 중에 가장 전력 사용량이 많은 '피크 전력 사용량'에 기본 단가를 곱해 기본 요금을 결정하는 독특한 구조입니다.<br /><br />이 때문에, 교육용 전기요금에서 기본요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43%, 특히 무더위 속에 종일 에어컨을 틀다가는 하반기 기본요금이 크게 오를 수도 있습니다.<br /><br />교육 당국은 기본요금 체계를 바꾸는 방식을 관계 부처, 한전 등과 논의하고 있지만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무더위로 냉방기구 사용이 불가피한 가운데 초·중·고등학교 전기요금 체계도 바뀌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설득력을 얻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김지영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60810105603419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