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금리를 내리면 대개 소비나 투자가 늘고 저축은 줄어든다는 게 경제 상식이죠.<br /><br />그래서 독일과 일본 등 많은 국가들이 경기 부양을 위해 마이너스 금리까지 도입하는 강수까지 쓰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그런데 마이너스 금리를 채택한 국가들이 소비는 늘어나지 않고 되레 저축이 증가하는 의외의 결과가 나와 경제 전문가들을 당혹하게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전준형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월스트리트저널은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한 독일과 일본의 가구 저축률이 높아지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.<br /><br />역시 마이너스 금리를 채택한 덴마크와 스위스, 스웨덴 등에서도 지난 1995년 이후 저축률이 가장 높다고 전했습니다.<br /><br />경제협력개발기구 OECD에 따르면 지난해 독일 가구의 저축률은 지난 2010년 이후 가장 높은 9.7%로 올랐습니다.<br /><br />올해는 10.4%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.<br /><br />올해 초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한 일본도 저축률이 높아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1분기 저축률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.3% 늘었으며 올해 저축률은 2.1%로 추정돼 2년 전에 마이너스였던 것과 대비됩니다.<br /><br />덴마크와 스위스, 스웨덴 가구의 올해 저축률도 각각 8.1%와 20.1%, 16.5%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됐습니다.<br /><br />[밥 파커 / '크레디트 스위스' 선임 고문 : 마이너스 금리가 실제로는 일본 경제에 거의 영향을 주지 못했습니다. 소비가 여전히 살아나지 않고 있어요.]<br /><br />기업들도 투자 대신 현금 보유를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비금융계 일본 기업들의 현금과 저축은 1분기에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.4% 늘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1990년대 이후 가장 큰 폭입니다.<br /><br />금리를 낮추면 저축이 줄고 소비가 늘어난다는 경제 상식이 깨진 것입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마이너스 금리가 경기에 대한 불안감을 키워 저축을 늘게 했을 것이라는 등 다양한 분석을 하고 있지만 이 같은 금리의 역설에 대해 명쾌한 해석을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YTN 전준형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4_20160809205726124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