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06년 전 오늘, 그러니까 지난 1910년 8월 29일은 우리 민족에게는 아주 아픈 날이었습니다.<br /><br />바로 우리나라의 통치권이 일제로 넘어간, 그러니까 한일합방이라고 불려진 경술년의 치욕이 있었던 경술국치일입니다.<br /><br />한국 홍보 전문가 서경덕 교수는 우리 젊은이들이 3.1절이나 광복절은 잘 알아도 정작 나라를 빼앗긴 경술국치 같은 역사적으로 잊지 말아야 할 날은 잘 모르는 것 같다며 SNS를 통해 이렇게 캠페인을 벌이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오늘의 의미를 되새기면서 같이 보겠습니다.<br /><br />당시 순종황제의 위임장을 받은 대한제국 총리대신 이완용은 일본 육군 대신 데라우치와 남산에 있는 통감관저에서 한일병합조약을 체결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순종황제는 이 조약은 본인이 허락한 것이 아니라는 유언을 남깁니다.<br /><br />일본이 역신의 무리와 제멋대로 선포한 것이라고 밝힌 건데요.<br /><br />실제 한일 양국의 조서를 비교해 보면 일왕의 국새와 서명이 된 일본의 조서와 달리 순종황제가 공포한 조서에는 국새가 아닌 행정 결재용 어새가 찍혀 있었고 순종의 서명도 돼 있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또 한일 양국에서 각각 따로따로 작성해야 할 병합조약문의 종이와 편집, 묶은 끈 뿐만아니라 글씨까지 똑같았다고 합니다.<br /><br />또 이완용에게 준 위임장 역시 같은 글씨로 밝혀져 당시 조선통감부에서 한일병합 조약 체결을 위해 모든 것을 꾸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결국 일본군의 강압 속에 진행된, 또 적법한 비준 절차도 무시된 이 조약은 국제법상으로도 '무효'였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 잘못된 조약으로 우리는 이후 35년간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해 그야말로 모든 것을 빼앗겨야만 했습니다.<br /><br />그래서 우리는 이 날을 '경술국치'라 부르고 있는데요.<br /><br />"우리는 이 날을 절대 잊지 말아야 한다" 서경덕 교수의 글은 이렇게 끝을 맺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오점곤 [ohjumgon@ytn.co.kr]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60829180622648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