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법정 관리에 들어가며 사실상 한진해운이 청산 절차에 들어갔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는데요.<br /><br />해운업계 양대 산맥 가운데 하나가 휘청거리면서 항만 물류 도시 부산지역의 걱정이 깊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부산항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김종호 기자!<br /><br />한진해운터미널에서는 이번 사태의 여파를 느낄 수 있습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사태 이전보다는 물동량이 줄어든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이곳 부두에서는 외국 컨테이너 운반선이 평소와 다름없이 오가며 선적과 하역 작업이 순조롭게 이뤄지고 있지만, 한진해운 소속 선박의 모습은 볼 수 없었습니다.<br /><br />이곳 터미널은 한진해운의 모항과도 같은 곳입니다.<br /><br />전체 처리하는 물량 가운데 절반 이상이 한진해운 소속 선박을 통해 오가는데요.<br /><br />전 세계적으로 한진해운 소속 선박 입항 거부나 압류 등이 잇따른 여파도 있고 우리 항만에서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못 들어오는 사례도 있다고 합니다.<br /><br />어제 법정관리에 돌입하면서 한진해운에서는 이런 어려움이 동시다발적으로 터져 나오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그런 한진해운은 우리 해운업계의 양대 산맥으로 불린 기업입니다.<br /><br />소속 전체 선박에 한꺼번에 실을 수 있는 6m 컨테이너가 무려 61만여 개로 이 기준으로 세계 7위 해운업체입니다.<br /><br />참고로 양대 산맥의 다른 축인 현대상선은 같은 기준으로 14위입니다.<br /><br />특히 부산항에서의 역할이 컸는데요.<br /><br />연간 처리한 6m짜리 컨테이너가 180만 개입니다.<br /><br />해외 유력 해운업체의 각축장이기도 한 부산항에서도 전체 물량의 10% 가까이 담당해온 겁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법정관리에 들어가면서 부산항으로 유치한 환적화물 이탈이 가속화되고, 세계 유력 해운사와 맺은 동맹에서의 구심점 역할이 사라져 동맹 업체 물량 유치도 어려워지며, 중국 상하이와 닝보 등 경쟁 항만에 환적화물을 잠식당할 위기도 맞게 됐습니다.<br /><br />부산지역 해운과 항만업계 종사자 2,300명이 일자리를 잃고 4천억 원대 피해가 날 거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부산시와 항만 업계에서는 그래서 이번 법정관리가 사실상 청산 절차여서는 안 된다며 어떻게든 한진해운을 살려낼 지혜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부산항 신항에서 YTN 김종호[hokim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60901135326752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