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일본 정부가 위안부 피해자를 지원하는 화해·치유 재단에 10억 엔을 보내면서 위안부 문제의 핵심 합의 사항을 모두 이행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반발이 여전하고, 주한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이전 문제도 잠복해 있어 논란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권민석 기자가 정리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한국과 일본은 고 김학순 할머니 증언 이후 24년 만인 지난해 12월 28일 일본군 위안부 문제 협상을 타결했습니다.<br /><br />일본 측이 정부 차원의 책임을 처음으로 인정하고 10억 엔을 부담하기로 했으며, 우리 정부는 이에 따라 위안부 문제가 최종적으로 해결됐다고 선언했습니다.<br /><br />[기시다 후미오 / 일본 외무상 (지난해 12월 28일) : 군의 관여 하에 다수 여성의 명예와 존엄에 깊은 상처를 입힌 문제로써, 이러한 관점에서 일본 정부는 책임을 통감합니다.]<br /><br />[윤병세 / 외교부 장관 (지난해 12월 28일) : 이번 발표를 통해 일본 정부와 함께 이 문제가 최종적 및 불가역적으로 해결될 것임을 확인한다.]<br /><br />합의 7개월 만에 화해·치유재단이 설립됐지만, 김태현 이사장이 고춧가루 액을 맞고 봉변을 당하는 등 출발부터 순탄치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일본 정부는 지난달 31일, 10억 엔을 재단 계좌로 송금하며 약속한 조치를 모두 이행했습니다.<br /><br />일본 정부가 이렇게 위안부 합의 사항을 마무리하면서, 이제 우리 정부 차례가 됐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향후 국제 외교 무대에서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일본 비판을 자제하고, 재단을 통해 위안부 생존자 46명에게 1억 원을, 사망자 199명의 유족에게 2천만 원을 분할 지급할 방침입니다.<br /><br />그러나 피해 할머니 6명이 1억 원을 받지 않기로 했고, 다른 할머니들은 정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하며 합의 무효를 고수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또 앞으로 일본이 합의문에 명시된 주한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문제 해결을 우리 측에 촉구할 여지도 커 순조롭게 해결 국면에 도달하긴 어려워 보입니다.<br /><br />YTN 권민석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60904061411442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