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앞으로 사나흘이면 한진해운의 운항이 전면 중단될 것으로 예상되면서, 정부가 압류 가능성이 작은 거점 항구에 화물 하역을 시도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한진해운에는 밀린 대금을 달라는 소송이 밀려들고 있고, 외국 해운사들은 한진해운의 빈자리를 파고 들며 반사 이익을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정미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절반 이상이 운항 차질을 빚고 있는 한진해운의 선박들.<br /><br />앞으로 사나흘이면 거의 모두 운항이 불가능해질 거라는 게 정부의 예상입니다.<br /><br />피해를 줄이기 위해 정부는 압류 가능성이 작은 항구를 거점으로 정해 화물 하역을 시도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아시아에서는 싱가포르, 유럽에서는 독일 함부르크, 미국에서는 LA와 롱비치 등입니다.<br /><br />압류 금지 조치를 받아 추진한다는 계획이지만, 이미 배가 묶인 중국 등 일부 국가와는 압류 금지 조치에 대한 협정이 체결되지 않아 대책이 없는 실정입니다.<br /><br />여기에다, 영국의 선주 조디악을 시작으로 밀린 선박 임대료를 받아내려는 배 주인들의 소송도 시작됐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연체된 액수만 2천4백억 원.<br /><br />하역 운반비와 임차료, 유류비 등 관련 업체가 받지 못한 돈도 3천억 원이 넘습니다.<br /><br />[김영석 / 해양수산부 장관(어제) "이분들이 갖는 심적인 불안감, 동요 이런 것도 많이 느낄 수 있었습니다. 운영자금의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 한 기본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상황이고….]<br /><br />8천 3백여 개 업체가 한진해운에 맡긴 화물의 금액도 16조 원.<br /><br />운송 차질에 따른 줄소송이 불가피합니다.<br /><br />부산항에서는 한진해운의 빈자리를 외국 해운사들이 비집고 들어오면서 반사 이익을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최동업 / 부산항만공사 전략기획실 부장 : 중국계 선사와 프랑스 업체가 부산항의 한진해운 화물의 대체를 위해서 추가적인 선복(화물 적재 공간)을 확보해서 부산항에 투입할 예정에 있고요.]<br /><br />당장 물동량이 줄어들 부산항에는 다행스러운 일이지만, 장기적으로는 국적 해운사의 입지가 좁아지면서, 외국 해운사가 정하는 운임에 국내 수출입업체가 끌려다닐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.<br /><br />YTN 이정미[smiling37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60905225618692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