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전 세계 고위급 국방 당국자와 민간 전문가들이 서울에 모여 북핵 문제의 해법을 논의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나 한반도 사드 배치에 반대하고 있는 중국 정부는 끝내 불참했습니다.<br /><br />강정규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전 세계 30여 개 나라, 국제기구의 외교·안보 분야 고위급 당국자와 민간 전문가 등 300여 명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.<br /><br />우리 국방부가 주최하는 국제안보회의인 서울안보대화가 올해 다섯 번째로 열린 겁니다.<br /><br />[황교안 / 국무총리 : 지구촌 모든 국가의 안보 협력을 한층 더 강화하는 기회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.]<br /><br />본회의에서는 한미와 중국, 일본, 러시아 등 북한을 제외한 6자 회담 당사국에서 온 참석자들이 북핵 문제를 두고 머리를 맞댔습니다.<br /><br />발제를 맡은 김홍균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북한의 핵무기 개발 야욕이 갈수록 노골화하고 있다며 국제 사회의 공동 대응이 절실하다고 역설했습니다.<br /><br />데이비드 시어 미 국방부 아시아태평양 정책수석부차관은 국제사회가 대화와 타협의 기회를 충분히 줬지만, 북한이 약속을 깨고 핵무기 개발을 강행하고 있다고 성토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한반도 사드 배치는 어디까지나 북한이 핵을 포기하도록 만들기 위한 방어용 무기라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.<br /><br />[데이비스 시어 / 미 국방부 아시아태평양 정책수석부차관 : 미사일 방어 체계는 전적으로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것입니다.]<br /><br />그러나 중국과 러시아 측 참석자들은 한반도 사드 배치가 동북아 지역 정세에 긴장감을 조성하게 될 것이라며 우려를 나타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올해 중국 정부는 예년과 달리 국방부 관계자를 보내지 않는 등 노골적인 불만을 드러냈습니다.<br /><br />[스인훙 / 중국 인민대학 국제관계학원 교수 : 사드는 이미 한중 관계에 악영향을 미쳤고, 심지어 앞으로 더 악화할 가능성도 있습니다.]<br /><br />북한의 생화학 무기에 대한 우려도 제기됐습니다.<br /><br />이번 대회의 기조연설자로 나섰던 화학무기금지기구의 아흐메트 위쥠쥐 사무총장은 한민구 국방부 장관과의 회담에서 북한의 화학 무기가 테러에 악용될 수 있다며 반드시 제거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YTN 강정규[live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1_20160908183604579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