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급증하는 가계부채의 주범은 역시 주택담보대출입니다.<br /><br />고삐 풀린 주택담보대출은 전체 가계부채의 절반을 넘어섰고, 가계의 처분가능소득과 맞먹기에 이르렀습니다.<br /><br />"가계부채 이대로는 안 된다" 두 번째 순서, 차유정 기자가 짚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서울 강남에서 재건축이 이뤄지는 아파트 단지의 견본주택입니다.<br /><br />사람들이 몰리더니 고분양가 논란에도 최고 2천 대 1에 육박하는 경쟁률을 기록하며 나흘 만에 1순위에서 완판됐습니다.<br /><br />[김정연 / 공인중개사 : 거래가 8월부터 또다시 급증하고 있습니다. 34평이 3개월 전보다 7천~8천 올라서 거래되고, 지금 거래하려면 매도인이 보류시키거나 (금액을 올리고 있습니다.)]<br /><br />식지 않는 청약 열풍과 함께 주택담보대출은 눈덩이처럼 불어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은행권 주택담보대출은 다달이 늘어 지난달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증가 폭을 기록하더니, 비은행권까지 포함하면 전체 가계부채 잔액 1,257조 원 가운데 절반이 넘는 684조 9천억 원에 달했습니다.<br /><br />기준금리가 1.25%까지 떨어진 가운데 시중의 부동 자금이 부동산 시장으로 쏠리는 겁니다.<br /><br />여기에 정부가 재작년 DTI, LTV 완화 정책에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세 폐지까지, 적극적인 부동산 정책으로 기름을 부었습니다.<br /><br />문제는 주택을 담보로 빌린 돈이 대출자들이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소득과 맞먹게 된 겁니다.<br /><br />비은행권까지 포함한 주택담보대출은 재작년 말 기준 460조, 가계 처분가능소득의 70%에 달하게 돼 번 돈의 대부분을 빚 갚는 데 쓰게 됐습니다.<br /><br />더 큰 문제는 상황이 나아질 기미가 없다는 겁니다.<br /><br />[김규정 / NH 투자증권 부동산 연구원 : 정부 규제에도 불구하고 집값이 오르면서 수요시장 불안 심리 높아지고 있습니다. 서울 강남권 재건축이나 유망 분양을 중심으로 거래가 늘어나면서 가격 상승세가 커지는 모습입니다.]<br /><br />2008년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는 저신용자에게 무분별하게 주택을 담보로 대출해주다 집값이 하락해 연쇄 도산하며 촉발됐습니다.<br /><br />주택담보대출의 거침없는 증가세는 이런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만큼 부동산 시장부터 감당할 수 있는 수준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.<br /><br />YTN 차유정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2_20160915222814212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