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앵커]<br />우리나라 공공시설물 가운데 지진에 견딜 수 있는 내진 시스템이 갖춰진 곳은 43.8%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죠.<br /><br />지난 2개월 사이에 영남권에서 규모 5가 넘는 지진이 두 차례나 발생한 가운데, 울산시가 공공시설에 대한 내진 설비 보강률을 100%로 높이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김인철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교량과 수도시설을 포함한 공공시설물은 규모 5.7에서 6.5의 지진을 견디도록 법에 규정돼 있습니다.<br /><br />이 규정에 따른 울산의 공공시설물 내진율은 전국 평균치보다 조금 높지만, 44.8%로 절반에 못 미치는 수준입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최근 3개월 사이 울산과 경주에서 규모 5.0이 넘는 지진이 3건이나 발생하자 시민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원전시설이 모여 있고, 석유화학단지까지 있는 지리적 특성 때문인데, 그래서 울산시는 우선 공공시설물에 대한 내진보강을 추진합니다.<br /><br />울산시청 건물은 규모 5.7의 지진에 견딜 수 있게 내진시설이 돼 있는데, 이곳처럼 다른 공공시설물의 내진을 보강한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울산시는 공공시설물 603곳에, 9백억 원을 투입해 2025년까지 내진율을 100%로 끌어올릴 계획입니다.<br /><br />[김병걸 / 울산시 재난관리과장 : 지진이 발생하면 건축물의 붕괴가 가장 심각합니다. 이에 우리 시에서는 공공시설물에 대한 내진보강을 조속히 앞당겨서 시행하기로 했습니다.]<br /><br />내진보강뿐만 아니라 안전진단 주기도 단축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안전등급 A와 B를 받은 시설물의 안전진단 주기는 6년과 5년에서 1년 줄여 5년과 4년마다 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나머지 등급도 1년씩 안전 진단 주기가 빨라집니다.<br /><br />도심지 공공시설물에 설치된 '지진가속도 계측기'를 도심 외곽 주민센터 등지에 추가 설치합니다.<br /><br />울산시의 공공시설물에 대한 내진 보강이 민간 시설물로 확산할지 기대됩니다.<br /><br />YTN 김인철[kimic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15_20160919144413089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